들른 이 18251322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여론마당>외국인에도 존대호칭을

우리말은 예의를 강조해 반말과 존대어가 확연하다. 그래서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잘 모를 때 아주 신경쓰인다고 한다. 그런데 잘 아는 한 외국인은 한국인들이 자기들에게 대하는 호칭에 이의를 제기했다. 한국인끼리는 잘 모르는 사람에게 모두 이름 끝에 씨자를 붙여 정중히 예우하면서 왜 외국인을 호칭할때는 씨자를 빼고 그냥 이름만 부르느냐는게 불만이었다. 마치 상대방을 무시하는 느낌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이었다. 병원에 가봐도 한국인들에게는 간호사가 ○○○님, 또는 ○○○씨라고 친절하게 대하면서 외국인인 자신에게는 그냥 마리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한국인과 외국인에게 서로 다른 존대법이 있는 것은 아니다. 같은 규칙을 적용해야 옳다고 본다. 우리도 외국인을 말할 때 이름 끝자에 씨자를 붙여주면 어떨까.

2002/10/08 문화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89 <기획-한글날의 반성> 당신의 채팅언어 실력은 2002/10/09 디지털타임스
288 <기획-한글날의 반성> "IT=세계화=영어" 2002/10/09 디지털타임스
287 ‘영어같은 남한말’ 탈북자 김광현씨가 본 우리말 2002/10/08 국민일보
286 답안·일기장에도 넵’ ‘안뇽’ 2002/10/08 국민일보
285 <한글날 특집> 홀대받는 순우리말 상표 2002/10/08 연합뉴스
284 <통신언어 이대로 좋은가> 전문가 의견 2002/10/08 전자신문
283 <통신언어 이대로 좋은가> 언어훼손 실태 2002/10/08 전자신문
282 통신언어는 언어파괴의 주범? 2002/10/08 전자신문
281 <여론마당>외국인에도 존대호칭을 2002/10/08 문화일보
280 "통신언어, 표준어 사용에 악영향" 2002/10/07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