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88426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168 - `지, 바`의 띄어쓰기

"이것이 열매인지 꽃인지 알겠니?" "그 모임에 갈지 안 갈지 아직 모르겠다."에 나오는 `지`는 `-ㄴ(은,는)지` `-ㄹ(을)지`의 형태로 쓰인 어미이므로 앞말에 붙여 쓴다. 그러나 "여기에 온 지 두 시간이 넘었다"에서처럼 `시간의 경과`를 나타낼 때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쓴다.

이처럼 `지`의 띄어쓰기는 `어떤 일이 있었던 때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낼 때만 띄어 쓰고 그 외에는 붙이면 된다.

그래도 모르겠다는 분들을 위해 다른 구별법을 알아보자.

비슷한 형태의 다른 말(-ㄴ지→-ㄴ가, -ㄹ지→-ㄹ까)을 붙여서 비교해 보는 방법이다.

"그가 제시간에 도착했는지 모르겠다"를 예로 들어 보면 `-는지` 대신 `-는가`를 붙여서 말이 되면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 띄어 쓴다. `도착했는가`를 `도착했는 가`로 띄어 쓰는 사람은 없을 것이므로 비슷한 형태인 `도착했는지`도 `도착했는 지`로 띄어 쓰지 말고 붙여 쓰면 된다.

반면 "집을 떠난 지 벌써 3년이 지났다"에서는 `-ㄴ지`를 `-ㄴ가`로 바꾸면 말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때의 `지`는 `-ㄴ가`와는 성격이 다른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붙여 쓰는 `-ㄴ가`와는 다르게 띄어 쓰면 된다. "그가 도착할지 모르겠다"에서 `-ㄹ지`의 경우도 `-ㄹ지` 대신 `-ㄹ까`를 붙여 보면 "그가 도착할까 모르겠다"로 말이 된다. 이 경우의 `-ㄹ지`는 항상 붙여 쓰는 `-ㄹ까`와 성격이 같은 것이므로 붙여 쓰면 된다.

2003/11/04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78 [네티즌 글사랑] `뜨개질`과 `뜨께질`의 차이 2003/03/16 굿데이
177 [우리말]‘초심’ 보다는 ‘첫마음’ 이 낫지요 2003/03/11 한겨레신문
176 [우리말 바루기] `빠르다`와 `이르다` 2003/03/10 중앙일보
175 [우리말 바루기] `대폿잔`과 `소주잔` 2003/03/05 중앙일보
174 ‘칠칠맞은’ 사람이 되자 2003/03/03 경향신문
173 [우리말 바루기] "엄마, 그게 아니에요" 2003/03/03 중앙일보
172 [네티즌 글사랑] 초생달의 바른 표기는 `초승달` 2003/03/23 굿데이
171 [우리말 바루기] 장 담그셨나요? 2003/03/23 중앙일보
170 [우리말 바루기] "오늘은 왠지…" 2003/03/20 중앙일보
169 [우리말 바루기] 맞춤법 비켜가기 2003/03/19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