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들른 이 180553461 명
깁고 더함 2007/12/28
|
|
 |
|
|
|
 |
|
|
|
|
`변화무쌍` 한글, 세종대왕도 몰랐을걸요
|
560돌 한글날을 맞아 한글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강조하거나 한글의 창제 과정을 다루는 등 관련 책들이 쏟아져 나왔다.
영어학자인 김미경 대덕대 교수가 쓴 〈대한민국 대표 브랜드 한글〉(자우출판사)은 한글의 창제 원리에 담긴 민주적이고 효율적인 성격이 정보화 시대 한국의 잠재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역설한다. 인류가 만들어 낸 문자 가운데 창제일과 만든 동기, 제자 원리 등이 밝혀진 유일한 문자가 바로 한글이다.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뜬 자음의 제자 원리와 천지인 사상을 담은 모음 제자 원리는 한글 창제의 바탕에 있는 과학적·철학적 근거를 말해 준다. 누구나 쉽게 배워 쓸 수 있는 글자를 만들었던 한글 창제 동기의 민주성도 자랑거리다. 이처럼 배우기 쉽다는 점에 더해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언어의 소리를 다 표현할 수 있다는 것 역시 한글의 뛰어난 점이다(한글이 애초에는 발음부호로서 만들어졌다는 견해도 있다). 최근 들어서는 기계적 친화력도 좋아서 정보화 시대에 적합한 문자임이 판명되고 있다.
지은이는 역사상 세 번의 한글혁명이 있었다고 지적한다. 첫 번째는 물론 1443년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일이었다. 두 번째 한글혁명은 1894년 고종이 한글을 국가의 공식문자로 선포한 사건.
“세 번째 한글혁명은 1988년 〈한겨레신문〉이 창간과 더불어 한글 전용과 가로쓰기 체계로 일간신문을 발행하기 시작한 것이다.(…) 〈한겨레신문〉의 한글 전용은 그 당시까지도 매우 보수적이었던 다른 주요 일간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1994년 중앙일보가, 1998년 동아일보가 전면 한글전용과 가로쓰기 체제를 채택하면서 드디어 한반도에는 진정한 의미에서 문자의 민주화와 정보의 기계화가 실현되었다.”
‘한류전략연구소’(소장 신승일)가 펴낸 〈아름다운 우리 한글〉(어문학사)은 도예와 서예, 회화, 춤, 의상, 간판 등 예술과 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걸쳐 한글의 미학성에 주목한 작업들을 소개하고 그 세계화 가능성을 모색한 화보집이다.
세계 3대 패션쇼의 하나인 파리 ‘프레타포르테 컬렉션’에서 선보인 이상봉씨의 한글 디자인 의상(오른쪽 사진), 밀물무용단의 한글 무용, 안상수씨의 한글 대문과 정병례씨의 한글 전각, 그 밖에 한글 글꼴을 이용한 넥타이와 가방, 목걸이와 반지 같은 액세서리 등이 다채롭게 소개된다.
북녘 작가 박춘명의 〈소설 훈민정음〉(이가서)은 훈민정음의 창제 과정을 그린 소설이다. 훈민정음 창제의 주역을 세종대왕이 아닌 성삼문 등 집현전 학자들로 설정했으며, 창제 원리 또한 기왕의 발음기관 설에 더해 고조선의 유물로 남겨진 ‘신지 문자’의 영향을 결정적으로 본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관정이종환교육재단’이 펴낸 〈남북 통일말 사전〉(두산동아)은 남북 사이의 언어 이질화를 극복하기 위해 북녘에서 잘 모르는 남녘 말을 수록한 ‘남북말사전’과 남녘에서 잘 모르는 북녘 말을 수록한 ‘북남말사전’을 한 권으로 묶었다. ‘남북말사전’은 ‘가가호호’와 ‘가계부’에서 시작해 ‘힐난’과 ‘힙합 바지’로 끝나며, ‘북남말사전’은 ‘가강(加强)히’(=과감하게)와 ‘가갸시절’(=가나다 표를 배우던 시절, 그러니까 아는 것이 없고 수준이 어리던 때)에서 시작해 ‘힘살’(=근육)과 ‘힘재개’(=힘의 크기를 재는 기구)로 끝난다.
코리아스토리 기획위원회에서 엮은 <한글>(허원미디어)은 한글의 창제 원리 등을 그림을 곁들여 한글과 영어로 설명해 외국인이 읽기에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이 밖에도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조선 연구가였던 다카하시 도루가 조선 속담과 민담 1300여 개를 수집하고 해설을 덧붙인 〈조선 속담집〉(박미경 편역, 어문학사 펴냄), 그리고 한글 창제의 정치학과 종교 정책, 안보와 과학기술정책 등 세종의 통치를 분야별로 다룬 〈세종의 국가경영〉(정윤재 외 지음, 지식산업사 펴냄)도 한글날을 겨냥해 출간되었다.
2006/10/08 한겨레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