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64430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한글날 읽는 `나만 모르는 우리말`>

학교 조회나 관공서 기념행사 등에서 윗사람이 어떤 말을 할 차례라는 것을 소개할 때 흔히 "말씀이 계시겠습니다"라고 한다. 이는 "말씀하시겠습니다"로 바로 잡아야 한다. 쓰지 않아야 할 자리에 존경의 어휘를 썼기 때문이다.

한여름 텔레비전에서 방영하는 '납량 특집' 가운데 '납량'의 표준 발음은 '나뱡'이 아니라 '남냥'이 맞다.

한글날을 맞아 틀리기 쉬운 우리말 365가지를 한데 모은 '나만 모르는 우리말'이 출간됐다.

조경숙, 김슬옹, 김형배 등 '국어단체연합 국어상담소' 상담원들이 한글 관련 기관이나 단체의 '묻고 답하기'에 올라 있는 목록 가운데 틀리는 빈도가 높은 것들 중심으로 엮었다.

책에 따르면 '능력 개발'과 '능력 계발'은 둘 다 쓸 수 있다. '개발'은 새로 만들어 내는 것이고 계발은 숨겨져 있던 것을 일깨워 주는 것이다.

입에 올리기 거북한 낱말을 지칭할 때나 얼른 떠오르지 않는 사물의 이름을 가리킬 때 쓰는 '거시기'를 전라도 사투리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지만 이 말은 엄연히 표준어다. 비슷한 말인 '머시기'는 표준어가 아니다.

책은 이처럼 말을 하고 글을 쓰면서 어딘가 어색하게 느껴졌던 항목들을 맞춤법, 표준어, 어휘, 표준 발음, 외래어 표기, 띄어쓰기, 문장부호, 문법, 언어 예절 등 9개 주제 별로 정리했다.

저자들은 서문에서 "많은 사람들이 외국어 열풍에 휩싸여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고 있는 사이 우리말과 글은 점점 더 오염되고 병들어 가고 있다"며 "국어 능력을 향상해 자신의 가치를 한층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적었다.

2006/10/09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59 60년 외길 노학자의 `국어교육 길라잡이` 2006/06/02 한겨레
258 `옥루몽` 전5권 현대어로 완역 2006/05/29 조선일보
257 [아침을 열며] 경국대전을 외국어로 번역하자 2006/05/15 한국일보
256 `우리말 속담사전` 출간 2006-04-11 연합뉴스
255 국역 정조국장도감의궤 2006/03/26 한겨레
254 바로잡아야 할 신문기사 문장의 표현 2006/03/22 연합뉴스
253 서정범 교수 어학 전집 나와 2006/02/03 중앙일보
252 이진원 기자 '우리말에 대한 예의' 출간 2005/12/19 부산일보
251 사투리에 깃든 삶의 깊이 느껴 봐요 2005/12/16 중앙일보
250 北, 어원유래 담은 서적 발간 2005/12/06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