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51381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영어같은 남한말’ 탈북자 김광현씨가 본 우리말

“남한말인지 영어인지 헷갈립니다”
지난해 6월 남한에 와 올해 3월부터 K전문대학 치기공과 1학년에 재학중인 탈북자 김광현씨(25)는 남한에 온지 1년이 넘었지만 ‘영어같은 남한말’때문에 아직까지 애를 먹고 있다.

김씨는 올해 초 학교에 입학한 뒤 한동안 학교생활에 적응하기가 힘들었다. 캠퍼스, 미팅, 커닝이라는 단어부터 MT, OT 등 남한의 대학생들이 일반적으로 쓰는 용어들을 생전 처음 들어봤기 때문이다. 학교수업도 마찬가지. 메탈(금속), 라인(선), 루트(뿌리), 크라운(관) 등 치기공과에서 기본적으로 쓰이는 용어조차 모두 영어를 사용하는 바람에 김씨는 수업내용을 좇아가기보다는 용어외우기에 매달려야 했다.

김씨의 불편한 생활은 학교를 벗어나서도 마찬가지였다. 패스트푸드점에 가서 햄버거 하나를 주문했다가 “세트를 원하느냐”는 질문에 ‘세트’라는 말을 몰라 그저 고개를 끄덕였다가 원하지도 않는 후렌치 프라이(튀김감자)와 콜라까지 먹어야 했다. 백화점에 가서도 옷에 붙어있는 상표나 치수 등이 모두 영문으로 표기되어 있는데다 점원 또한 “사이즈가 얼마예요” “DC(할인)는 안돼요”라는 생소한 말들이 나오기 때문에 솔직히 물건 고르기가 겁난다고 한다.

탈북자 모임단체인 자유이주민연합회 조연지 총무는 “대부분의 탈북자들은 이해하기 어려운 남한말 때문에 움츠러들고 주눅드는 경우가 많다”며 “쉽고 이해하기 좋은 우리말을 놔두고 왜 자꾸 영어 등 외국단어를 갖다 붙여 국적 불명의 말을 만들어 내는지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2002/10/08 국민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89 <기획-한글날의 반성> 당신의 채팅언어 실력은 2002/10/09 디지털타임스
288 <기획-한글날의 반성> "IT=세계화=영어" 2002/10/09 디지털타임스
287 ‘영어같은 남한말’ 탈북자 김광현씨가 본 우리말 2002/10/08 국민일보
286 답안·일기장에도 넵’ ‘안뇽’ 2002/10/08 국민일보
285 <한글날 특집> 홀대받는 순우리말 상표 2002/10/08 연합뉴스
284 <통신언어 이대로 좋은가> 전문가 의견 2002/10/08 전자신문
283 <통신언어 이대로 좋은가> 언어훼손 실태 2002/10/08 전자신문
282 통신언어는 언어파괴의 주범? 2002/10/08 전자신문
281 <여론마당>외국인에도 존대호칭을 2002/10/08 문화일보
280 "통신언어, 표준어 사용에 악영향" 2002/10/07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