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55024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독서로 논술잡기]`대한민국은 받아쓰기 중`

◇대한민국은 받아쓰기 중/정재환 지음/212쪽·9900원·김영사

비판적 사고는 논술이 요구하는 창의적 문제 해결력의 바탕이다. 그 비판적 사고를 다질 좋은 기회를 우리는 일상적 언어 생활에서 발견한다. 우리의 모국어만큼 무지와 혼란 속에 빠져 있는 것도 드문 까닭이다.

‘양반은 얼어 죽어도 겻불은 안 쬔다’는 속담을 보자. 사람들은 대부분 ‘곁불’로 알고 있지만 여기서 ‘겻불’은 겨를 태우는 불, 그러니까 미미한 불기운을 뜻한다. ‘알아야 면장을 한다’는 말도 그렇다. 흔히 ‘면장’을 ‘면장(面長)’으로 생각하지만 이 말은 ‘담장에서 얼굴을 면(免)한다’는 ‘면면장(免面牆)’, 곧 ‘면장(免牆)’에서 나왔다. 견식이 없으면 담벼락을 마주한 듯 답답할 수밖에 없다. 그러니 면장이란 그런 상태에서 벗어남을 의미한다.

알 듯 모를 듯 어려운 우리말. 동네 이쪽에는 ‘카센타’가 있고, 저쪽에는 ‘카센터’가 있다. ‘수퍼’가 있는가 하면 ‘슈퍼’가 있고 ‘아구찜’ 집에선 ‘아귀찜’을 판다. 조금 틀려도 뜻만 통하면 되지 않느냐고들 하지만 우리는 테니스 라켓조차도 정확하게 잡기를 주문한다. 더욱이 영어는 철자 하나, 발음 하나에 그렇게 연연해하면서 우리말은 아무렇게나 해도 되는 걸까?

무지나 오류보다 더 심각한 것은 우리들의 언어 환경과 마음가짐이다. 인터넷에는 외계어가 떠다니고 방송에서는 비속어가 툭툭 튀어나온다. 게다가 세계화의 물결 속에 대한민국을 대표한다는 큰 기업의 이름은 온통 영어 알파벳뿐이다. 한국담배인삼공사의 회사 이름 KT&G가 ‘코리아 토바코 그리고 진셍’이 아니라 ‘코리아 투모로 그리고 글로벌’이라면 이해가 가는가?

말은 곧 얼이다. 원칙도 규칙도 없는 한글 표기는 곧 원칙도 규칙도 없는 한국을, 상스럽고 품위 없는 한국말은 곧 상스럽고 품위 없는 한국인을 보여 주는 자화상이라고 지은이는 주장한다.

모국어의 실상을 조명함으로써 이 책은 나와 우리 사회의 모습을 돌아보게 하고 삶의 진정한 가치를 묻는다. 목적과 수단, 그리고 현실과 이상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슬기와 지혜에 대한 그 물음은 나와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찾는 일이기도 하다.

궁금하다. 나의 받아쓰기 실력은 도대체 어느 정도일까? 도리도리 □□. ‘젬젬, 잼잼, 죔죔.’ 엄마 앞에서 □□□. ‘짝짝꿍, 짝짜꿍, 짝짜쿵.’ 주관식은 언제나 어려운 법. ‘죔죔’과 ‘짝짜꿍’을 썼다면 특1급이다.

2006/10/21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89 경상도 우리탯말 2006/10/28 매일신문
288 [독서로 논술잡기]`대한민국은 받아쓰기 중` 2006/10/21 동아일보
287 <사람들> `경상도 탯말` 출간 경상도 사람들 2006/10/17 연합뉴스
286 [책]간추린 우리말 바로쓰기 2006/10/13 세계일보
285 세계가 감탄한 기록문화의 우수성 2006/10/12 한겨레
284 <한글날 읽는 `나만 모르는 우리말`> 2006/10/09 연합뉴스
28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종이사전` 안낸다 2006/10/09 경향신문
282 `변화무쌍` 한글, 세종대왕도 몰랐을걸요 2006/10/08 한겨레
281 외국인.동포대상 한국어 읽기.말하기 교재 출간 2006/09/29 연합뉴스
280 한글이 어려운게 아니네 `초정리 편지` 2006/09/29 한국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