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150434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서적, 출판
KOICA요원 첫 몽.한사전 발간
한국국제협력단(KOICA)의 협력요원으로 몽골에서 활동했던 한 대학생이 몽.한학습사전"을 처음으로 발간했다.
화제의 인물은 군복무 대신 KOICA 4기 협력요원으로 지난 98년 7월부터 2000년 8월까지 2년간 몽골에서 한국어 교육을 담당했던 강남욱(25.서울대 국어교육4)씨.
강씨는 울란바토르의 몽골 인문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던 중 지난 90년 한.몽골 수교 이후 10년이 다 되도록 변변한 사전 하나 없어 불편을 호소하는 한국어 수강 몽골 학생들을 위해 몽.한사전을 만들기로 결심했다.
강씨는 98년 몽골 파견 협력요원 동기생 박상희(27.서울대 심리 3)씨의 제의로 2년여의 경험을 토대로 4개월에 걸친 작업 끝에 지난해 말 358쪽에 6천여 단어를 수록한 사전을 제본 형태로 발간했다.
처음 몽골 학생들에게 배포했던 사전 초판 200부가 큰 호응을 얻어 올해초 다시 인쇄에 들어갔으나 재판도 다 팔려나갔다는 소식에 15일 강씨는 "곧 서울에서 더 많은 부수를 찍어 몽골로 보내고,기회가 되면 한.몽사전 제작에도 참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강씨가 만든 사전은 내용이 쉽고,활용예문이 많아 현재 몽골의 여러대학과 중학교 등에서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그는 "몽.한학습사전 출간을 계기로 몽골을 비롯한 제3세계에 대한 우리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001/04/15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79
소설가 이효석 전집 새롭게 출간
2003/12/15
연합뉴스
178
정지용의 시 `홍역`
2003/12/12
조선일보
177
해마다 더해가는 `혼불사랑`
2003/12/11
동아일보
176
‘혼불’의 고운 우리말 풀어쓰고 갈무리하고
2003/12/05
한겨레신문
175
故 이오덕 씨 미발표 유고 발표
2003/12/03
연합뉴스
174
삶의 체험 - 역사가 흐르는 수필선
2003/11/27
문화일보
173
`순수한 영혼`들의 아름다운 자취
2003/11/13
문화일보
172
1910년대 신어(新語) 담긴「최신실용 조선백과전서」
2003/11/07
연합뉴스
171
유안진 교수, 민요 모음집 펴내
2003/11/03
조선일보
170
방정환의 `어른동화` 나왔다
2003/11/04
경향신문
제목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45/62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