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91482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173 - 책갈피와 서표

가로수 길에 노랗게 은행잎이 깔렸습니다. 바람이라도 조금 불라치면 우수수 지는 잎들이 장관입니다.

어릴 적 이맘때면 색색의 나뭇잎을 모으느라 분주했는데, 어른보다 바쁜 요즘 어린이들은 그럴 여유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골라 `주운` 잎들은 책갈피 사이에 곱게 끼워 말렸다가 성탄절이나 새해 카드를 만드는 데 쓰기도 했지요.

그런데 위 글에 나오는 `주운`을 `주은`으로 쓰는 분이 많더라고요. `산에서 주은 단풍잎`처럼 말이죠. `줍다`는 ㅂ 불규칙 용언으로, 어간의 `ㅂ`이 `ㅜ`로 바뀌어 `주워 주우니 주웠다 주운`처럼 활용합니다. 따라서 `산에서 주운 단풍잎`처럼 쓰는 게 바릅니다. `밤을 굽다`에서의 `굽다`도 마찬가지로 `구워 구우니 구웠다 구운`처럼 써야 합니다. 그러므로 `화롯불에 구은 밤` `고구마를 구어 먹다`처럼 쓰는 것은 바르지 않습니다.
`책갈피`도 뜻을 정확하게 모르고 쓰는 경우가 자주 눈에 띕니다. 책갈피는 `책장과 책장의 사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책을 읽다가 어딘가 다녀와야 할 때는 책갈피를 끼워놓고 가면 됩니다" "익스플로러에도 책갈피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즐겨찾기입니다" 등에서의 `책갈피`는 잘못 사용한 것입니다.

이 경우는 `서표(書標)`라는 단어를 쓰는 게 맞습니다. 서표는 `읽던 곳이나 필요한 곳을 찾기 쉽도록 책갈피에 끼워 두는 종이 쪽지나 끈`을 말합니다.

2003/11/11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54 새 우리말 바루기 58. `애기야 가자` 2004/09/21 중앙일보
453 새 우리말 바루기 57. 꾀하지 마라, 꿰고 있다 2004/09/20 중앙일보
452 새 우리말 바루기 56. 떡값·촌지·뇌물 2004/09/19 중앙일보
451 새 우리말 바루기 54. `~되다` 를 줄여 쓰자 2004/09/15 중앙일보
450 새 우리말 바루기 51. 비표준어에 딴죽 걸기 2004/09/12 중앙일보
449 새 우리말 바루기 45. 트레킹과 트래킹 2004/09/02 중앙일보
448 새 우리말 바루기 44. `떼어 논/따논` 당상 2004/09/01 중앙일보
447 새 우리말 바루기 41. `~에 대해`를 줄여 쓰자 2004/08/29 중앙일보
446 새 우리말 바루기 40. 넌지시 2004/08/26 중앙일보
445 새 우리말 바루기 39. 못지 않는(?) 2004/08/25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