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수 길에 노랗게 은행잎이 깔렸습니다. 바람이라도 조금 불라치면 우수수 지는 잎들이 장관입니다.
어릴 적 이맘때면 색색의 나뭇잎을 모으느라 분주했는데, 어른보다 바쁜 요즘 어린이들은 그럴 여유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골라 `주운` 잎들은 책갈피 사이에 곱게 끼워 말렸다가 성탄절이나 새해 카드를 만드는 데 쓰기도 했지요.
그런데 위 글에 나오는 `주운`을 `주은`으로 쓰는 분이 많더라고요. `산에서 주은 단풍잎`처럼 말이죠. `줍다`는 ㅂ 불규칙 용언으로, 어간의 `ㅂ`이 `ㅜ`로 바뀌어 `주워 주우니 주웠다 주운`처럼 활용합니다. 따라서 `산에서 주운 단풍잎`처럼 쓰는 게 바릅니다. `밤을 굽다`에서의 `굽다`도 마찬가지로 `구워 구우니 구웠다 구운`처럼 써야 합니다. 그러므로 `화롯불에 구은 밤` `고구마를 구어 먹다`처럼 쓰는 것은 바르지 않습니다.
`책갈피`도 뜻을 정확하게 모르고 쓰는 경우가 자주 눈에 띕니다. 책갈피는 `책장과 책장의 사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책을 읽다가 어딘가 다녀와야 할 때는 책갈피를 끼워놓고 가면 됩니다" "익스플로러에도 책갈피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즐겨찾기입니다" 등에서의 `책갈피`는 잘못 사용한 것입니다.
이 경우는 `서표(書標)`라는 단어를 쓰는 게 맞습니다. 서표는 `읽던 곳이나 필요한 곳을 찾기 쉽도록 책갈피에 끼워 두는 종이 쪽지나 끈`을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