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678712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짜장` 구수한 우리말, `라온` 맘으로 공부해요

“짜장 웃긴다.”

“꽃등 마음먹은 대로 열심히 공부할게요.”

“우리 반에는 라온 마음으로 자원봉사를 하는 학생들이 많습니다.”

무슨 말인가 싶다. 새로 들어온 외래어 같기도 하고, 사투리 같기도 하다. 하지만 순 우리말들이다. ‘짜장’은 ‘과연’, ‘정말로’라는 뜻이고, ‘꽃등’은 ‘맨 처음’, ‘애초’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라온은 ‘즐거운’이라는 뜻의 고운 우리말이다.

우리가 쓰는 말 가운데 토박이말은 얼마나 될까? ‘영어 광풍’ 속에 우리말이 찬밥 대우를 받고 있지만, 한글에는 오래 역사를 헤쳐 나온 지혜로운 생활의 말들이 그득하다. 먹을거리, 움직임, 모양 등을 표현하는 예쁘고 재미난 말들이 생각보다 훨씬 많다.

아름다운 우리말을 소개하는 책이 두 권 나왔다. <우리가 짜장 알아야 할 고운 우리말 100가지>(청솔), <초등학교 6학년까지는 꼭 알아야 할 우리말 사전>(계림)이 그것이다. 두 책 모두 생소한 단어의 뜻을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친구에게 얘기하듯이 친절하게 설명해 준다는 공통점이 있다. 더불어 단어마다 뜻의 유래를 밝히고 예문을 곁들여, 곱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우리말 100가지>는 제목처럼 기본 100단어를 ㄱ, ㄴ, ㄷ 순으로 보여준다. 단어를 사용하는 상황을 구체적 대화 예문을 통해서 제시한다. 책 중간중간 실린 ‘잘못 쓰는 우리말’, ‘우리말로 쓰면 좋은 컴퓨터 용어’, ‘잘못 쓰는 외래어 바로잡기’ 등은 우리말을 올바로 쓰는 데 큰 도움을 준다. ‘우뢰’가 아니라 ‘우레’, ‘으시대다’가 아니라 ‘으스대다’, ‘차돌배기’가 아니라 ‘차돌박이’, ‘주책이다’가 아니라 ‘주책없다’가 맞다고 설명한다. 누리꾼(네티즌), 댓글(리플), 컬러링(멋울림), 소보루빵(곰보빵), 네비게이션(길도우미) 등의 우리말도 눈에 익힐 수 있다. 책 말미에서는 비, 구름, 음식, 단위 관련 우리말을 만날 수 있다.

<…우리말 사전>은 맛, 모양, 움직임, 소리 등 주제별로 기준을 잡아 알아두면 좋을 우리말을 알려준다. 모두 365단어를 표제어로 삼고 있다. 대체로 각 쪽마다 관련된 두 낱말을 견줘 설명하고 있어, 비슷한 말, 반대되는 말, 유래가 같은 말 등을 한 눈에 파악하기 쉽다. 예컨대, ‘그릇 위까지 수북이 담은 밥’인 ‘감투밥’과 ‘그릇에 넘치도록 많은 담은 것’을 뜻하는 ‘안다미로’를, ‘음식을 조금 먹는 일’을 말하는 ‘볼가심’과 ‘좋은 음식을 먹기 전에 간단히 먹는 일’을 뜻하는 ‘초다짐’을 나란히 설명하는 식이다.

낱말 설명 뒤에는 꼭 ‘이렇게 써요’라는 제목으로 단어의 활용법을 설명해 준다. 군데군데 ‘이것도 알아 둬요!’ 꼭지를 마련해, 단어의 본뜻이나 유래, 의미 변화 등을 보여주거나, 그 단어와 관련된 옛 이야기 한 토막을 들려주기도 한다. ‘구수한 사투리’와 ‘궁금한 북한말’도 별도의 장으로 나눠 설명하고 있다.

이들 책을 통해 정겹고 구수하고 아름다운 우리말을 익혀 쓴다면 저마다의 삶이 훨씬 더 풍성해질 거라고 지은이들은 말한다. 물론 국어 실력도 몰라보게 자랄 것이다.

<…우리말 100가지> 이아정 글, 청솔/1만3천원. <…우리말 사전> 정우진 글, 계림/9800원.

2006/11/19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89 경상도 우리탯말 2006/10/28 매일신문
288 [독서로 논술잡기]`대한민국은 받아쓰기 중` 2006/10/21 동아일보
287 <사람들> `경상도 탯말` 출간 경상도 사람들 2006/10/17 연합뉴스
286 [책]간추린 우리말 바로쓰기 2006/10/13 세계일보
285 세계가 감탄한 기록문화의 우수성 2006/10/12 한겨레
284 <한글날 읽는 `나만 모르는 우리말`> 2006/10/09 연합뉴스
283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종이사전` 안낸다 2006/10/09 경향신문
282 `변화무쌍` 한글, 세종대왕도 몰랐을걸요 2006/10/08 한겨레
281 외국인.동포대상 한국어 읽기.말하기 교재 출간 2006/09/29 연합뉴스
280 한글이 어려운게 아니네 `초정리 편지` 2006/09/29 한국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