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52464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고형진 교수, 평안도 방언·고어 최대한 살린 `정본 백석시집`

무수한 평안도 방언들을 시어로 끌어들여 ‘모국어의 확장’에 기여한 시인 백석(본명 백기행·1912∼1995)의 시를 올바르게 감상할 수 있는 ‘정본 백석시집’(고형진 엮음, 문학동네 펴냄)이 나왔다. 백석의 시는 처음으로 발굴된 1980년대 이후 여러 권의 시집이 발간되고,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논문과 단행본도 100편이 넘지만 제대로 된 정본은 거의 없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정본 시집은 의미가 적지 않다는 평가다.

특히 시집을 엮은 고형진 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는 백석의 시에 대한 논문을 학계에서 맨 처음 발표한 ‘백석 전문가’로 연구 25년만에 정본이라는 결실을 맺었다. 고 교수는 백석이 남긴 아름다운 토속어와 수많은 평안도 방언을 최대한 살려내는 한편 상세한 낱말풀이까지 덧붙였다. 백석 시 감상에서는 방언과 고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모두 표준어로 바꾸면 그 맛이 사라진다.

결국 원본에서 오자와 탈자, 편집과정의 오류 등만을 고쳐내는 일이 중요하다. 고 교수는 백석이 활동한 1935∼1948년 당시의 맞춤법 규정을 통해 이를 바로잡았다. 원본도 별도로 수록했다.

백석의 유일한 시집 ‘사슴’을 1부로, 그 이후 발표한 시들을 2부(함주시초)와 3부(흰 바람벽이 있어)로 엮었다.350쪽,1만 5000원.

2007/02/16 서울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09 [오늘의 역사 3월 8일] `용비어천가` 편찬 2007/03/07 소년한국일보
308 MBC 아나운서국 방송어휘집 발간 2007/02/27 연합뉴스
307 고형진 교수, 평안도 방언·고어 최대한 살린 `정본 백석시집` 2007/02/16 서울신문
306 [말들의 풍경] <36> 사전, 언어의 곳집 2006/11/07 한국일보
305 [책]남북통일말사전 2006/11/03 세계일보
304 곽밥=도시락, 화장실=위생실, 보신탕=단고기국 2006/10/04 중앙일보
303 [코드로 읽는책] 남북통일말사전 2006/09/30 서울신문
302 조선 숙종妃 인원왕후의 한글문집 3권 발견 2007/02/09 동아일보
301 <`석초시집` 60년 만에 복간> 2006/10/30 연합뉴스
300 역사속으로 떠나는 우리말 기행 2006/07/07 대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