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05092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고형진 교수, 평안도 방언·고어 최대한 살린 `정본 백석시집`

무수한 평안도 방언들을 시어로 끌어들여 ‘모국어의 확장’에 기여한 시인 백석(본명 백기행·1912∼1995)의 시를 올바르게 감상할 수 있는 ‘정본 백석시집’(고형진 엮음, 문학동네 펴냄)이 나왔다. 백석의 시는 처음으로 발굴된 1980년대 이후 여러 권의 시집이 발간되고,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논문과 단행본도 100편이 넘지만 제대로 된 정본은 거의 없었다.

그런 점에서 이번 정본 시집은 의미가 적지 않다는 평가다.

특히 시집을 엮은 고형진 고려대 국어교육과 교수는 백석의 시에 대한 논문을 학계에서 맨 처음 발표한 ‘백석 전문가’로 연구 25년만에 정본이라는 결실을 맺었다. 고 교수는 백석이 남긴 아름다운 토속어와 수많은 평안도 방언을 최대한 살려내는 한편 상세한 낱말풀이까지 덧붙였다. 백석 시 감상에서는 방언과 고어가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것들을 모두 표준어로 바꾸면 그 맛이 사라진다.

결국 원본에서 오자와 탈자, 편집과정의 오류 등만을 고쳐내는 일이 중요하다. 고 교수는 백석이 활동한 1935∼1948년 당시의 맞춤법 규정을 통해 이를 바로잡았다. 원본도 별도로 수록했다.

백석의 유일한 시집 ‘사슴’을 1부로, 그 이후 발표한 시들을 2부(함주시초)와 3부(흰 바람벽이 있어)로 엮었다.350쪽,1만 5000원.

2007/02/16 서울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99 한불사전 29년만에 전면 개정 2007/02/02 한겨레
298 외솔 최현배 시조집 출간 2007/02/02 연합뉴스
297 교통방송 아나운서들 `우리말…` 발간 2007/01/17 문화일보
296 우리 말 `억지춘향` 그 유래는 무얼까 2007/01/11 헤럴드경제
295 `속담 대사전` 나왔다 2006/12/11 한겨레
294 속담이 진담이네…정종진교수 `속담사전` 출간 2006/11/30 동아일보
293 `짜장` 구수한 우리말, `라온` 맘으로 공부해요 2006/11/19 한겨레
292 [어린이 책]`고운 우리말 100가지` 2006/11/11 동아일보
291 `광대등걸` `조쌀하다`? 2006/11/06 조선일보
290 오지기 맞았나?, 억수로 맞았나? 2006/10/29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