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2116682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정책, 규정
서울시, `한자 일색` 문화재 명칭 `우리말로`
서울시는 한자 위주인 문화재 명칭을 문화재의 성격과 연혁에 부합하고,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우리말'로 풀어 부를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지덕사부묘소(至德祠附墓所)처럼 한자 명칭으로 인해 사당과 묘소임에도 한문에 익숙치 않은 시민의 경우 사찰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
예를 들면 '남산봉수대지'를 '남산봉수대터'로 바꾼다던가, 문화재의 지정가치와 의미 등을 이름만 들어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개칭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한자 위주의 명칭 때문에 문화재의 의의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우리말로 명칭을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이와 함께 불합리한 문화재보호구역 지정으로 시민 재산권을 침해하는 사례가 빈번하다고 판단,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비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우선 이들 문화재의 지정가치를 전면 재검토해 동산화된 부동산을 동산으로 재분류하고, 문화재 주변지역에 대한 규제도 완화하기로 했다.
또한 '~일원' 등으로 고시했던 관행에서 탈피해 범위를 명확히 확정한 뒤 지정도면을 공개, 주변 건축규제 등에 대한 사전예측이 가능토록 할 방침이다.
2007/08/06 뉴시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95
`농약 명칭` 표준화 용어로 개선해 전면 시행
2007/05/04
농촌진흥청
294
국어심의회 `원칙없는 운영` 논란
2007/05/04
전자신문
293
[우리말 다듬기]`로드킬` 순화어 `찻길동물사고`
2007/05/03
동아일보
292
`柳`씨 류씨 표기 `허가`
2007/04/30
대전일보
291
국가기록물 1호 `조선말 큰사전 원고`
2007/04/19
서울신문
290
[우리말 다듬기]`러브라인` 순화어 `사랑구도`
2007/04/18
동아일보
289
[우리말 다듬기]`하드보일드` 순화어 `냉혹기법`으로 결정
2007/04/11
동아일보
288
`적의한→알맞은`…알기쉬운 법령 38건 공포
2007/04/10
국정브리핑
287
국립국어원 국어발전 기본계획
2007/03/30
뉴시스
286
[우리말 다듬기]`웹서핑` 순화어 `누리검색`
2007/03/28
동아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3/62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