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11803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서울시, `한자 일색` 문화재 명칭 `우리말로`

서울시는 한자 위주인 문화재 명칭을 문화재의 성격과 연혁에 부합하고,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우리말'로 풀어 부를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지덕사부묘소(至德祠附墓所)처럼 한자 명칭으로 인해 사당과 묘소임에도 한문에 익숙치 않은 시민의 경우 사찰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

예를 들면 '남산봉수대지'를 '남산봉수대터'로 바꾼다던가, 문화재의 지정가치와 의미 등을 이름만 들어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개칭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한자 위주의 명칭 때문에 문화재의 의의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며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우리말로 명칭을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는 이와 함께 불합리한 문화재보호구역 지정으로 시민 재산권을 침해하는 사례가 빈번하다고 판단,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비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시는 우선 이들 문화재의 지정가치를 전면 재검토해 동산화된 부동산을 동산으로 재분류하고, 문화재 주변지역에 대한 규제도 완화하기로 했다.

또한 '~일원' 등으로 고시했던 관행에서 탈피해 범위를 명확히 확정한 뒤 지정도면을 공개, 주변 건축규제 등에 대한 사전예측이 가능토록 할 방침이다.

2007/08/06 뉴시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75 [국어생각] `해후`의 조건 2006/12/05 주간한국
274 [우리말 다듬기]`그라피티` 순화어 `길거리그림` 2007/02/14 동아일보
273 판결문,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2007/02/13 법률신문
272 [우리말 다듬기]`비트박스`순화어`입소리장단`으로 2007/02/07 동아일보
271 `고물` 대신 `선미`(船尾)로 통일합니다 2007/02/05 연합뉴스
270 [우리말 다듬기]`프리사이즈` 순화어 `열린치수`로 2007/01/31 동아일보
269 [우리말 다듬기]`샘플러` 순화어 `맛보기묶음`으로 2007/01/24 동아일보
268 [우리말 다듬기]`케이터링`순화어 `맞춤밥상`으로 2007/01/17 동아일보
267 수능 언어영역, 10문항 10분 줄어든다 2007/01/15 뉴시스
266 대법원 `로마자 상호`도 등기 허용 2007/01/15 세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