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153489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서적, 출판
순한글 여성시집 `기각한필` 첫 발견
19세기 중반 집필된 순한글 여성 시집 ‘기각한필(綺閣閒筆)’이 두 명의 소장학자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여성시집은 10여편에 불과하며 순한글 여성 시집은 ‘호연재유고’와 ‘의유당유고’ 두 편뿐이다.
더구나 호연재유고와 의유당유고는 작자가 사망한 뒤 후손들이 한시를 한글로 번역해 엮은 시집인 반면, 기각한필은 작자가 자신의 한시를 직접 한글로 풀어냈다는 점에서 19세기 여성문학을 연구하는 데 획기적인 자료로 평가된다.
한국학중앙연구원의 소장학자인 부유섭·강문종(박사과정)씨가 장서각 수장고에서 발견한 기각한필은 1책 77장으로 가로 30㎝, 세로 21.3㎝ 크기다. 작자인 기각의 한시 249수(오빠인 상회의 시 4수 포함)의 언해와 비평이 함께 실렸다.
기각은 19세기 중반 충남 노성에서 태어나 명문가로 시집간 여성으로 추정된다. ‘상회는 오라바님 별호’라고 쓴 구절에서 작자가 여성임이 분명히 드러난다.
또 ‘권학증아자(勸學贈兒子)’라는 시에서는 그의 시댁이 이름난 명문가임이 추정됐다. 또 조선 헌종 때의 여류시인 ‘금원(錦園·1817∼?)’이 ‘조카딸(姪女)’이라고 밝힌 점도 눈에 띈다.
또 자탄(自嘆)이라는 시의 ‘한위여자우무성(恨爲女子又無成: 여자 된 것이 한인데 또 이룬 것이 없으니)’라는 구절 등 여성으로 태어나 재능을 발휘할 수 없는 처지를 탄식하는 내용이 적지 않았다.
2007/06/28 세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39
8월 27일 학술 새로 나온 책
2005/08/26
한겨레
238
한글 태생의 비밀은 ‘음양오행’
2005/08/24
대전일보
237
'윤동주 시어 사전' 출간
2005/08/16
연합뉴스
236
기틀 마련한 ‘겨레말큰사전’
2005/08/16
한겨레
235
소설가 이외수씨 '격외선당 문학연수' 인기
2005/07/18
강원일보
234
강정희 교수, ‘제주방언 형태 변화 연구’ 펴내
2005/07/02
제주일보
233
훈민정음 ‘사라진 두장’ 미스터리 풀려
2005/06/15
동아일보
232
천상병 시인 육필시집
2005/04/27
한겨레
231
정지용 전집-정지용
2005/04/26
동아일보
230
연암의 문학 200년 만에 되살아나다
2005/04/16
중앙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9/62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