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88331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188 - `끼어들기` 하지 마

최근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가 크게 줄고 있지만 사망률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한다. 음주 운전 등 사고 원인은 여러 가지지만 `끼여들기`가 한몫 하고 있다.

잦은 `끼여들기`는 목적지에 빨리 도착하지도 못하면서 사고 위험만 높이고 거리 질서를 어지럽히는 잘못된 운전 습관이다.

앞글에서처럼 `차가 옆 차선으로 무리하게 비집고 들어서는 일`을 `끼여들기`로 쓰는 사람이 많은데 이는 잘못이다. `끼어들기`로 써야 한다.

`끼어들기`의 발음이 [끼어들기/끼여들기]로 나기 때문에 `끼어들기`와 `끼여들기`가 섞여 쓰이는 것 같다.

더구나 예전의 국어사전들은 `끼어들다`와 `끼어들기`를 표제어로 올리지 않았다. 그래서 `끼이다(무리 가운데 섞이다)`와 `들다(밖에서 속이나 안으로 향해 가거나 오거나 하다)`의 합성어로 보아 `끼이어들다→끼여들다` 형태로 판단해 `끼여들다`로 잘못 쓴 것 같다.

국립국어연구원은 1999년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자기 순서나 자리가 아닌 틈 사이를 비집고 들어서다`란 뜻으로 `끼어들다`만을 표준어로 인정했다. 그러므로 `끼어들다`의 어간 `끼어들-`에 명사형 어미 `-기`가 붙어 `끼어들기`란 명사가 된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날이 추워지면서 눈길이나 빙판길 등 도로 사정도 나빠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럴 때 잘못 `끼어들기`를 한다면 대형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2003/12/02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28 연자매 2003/12/21 한겨레신문
327 전혀·별로 2003/12/19 한겨레신문
326 ‘-네’의 쓰임새 2003/12/16 한겨레신문
325 우리말 바루기 198 - 구렛나루 2003/12/16 중앙일보
324 우리말 바루기 195 - 당기다/댕기다/땅기다 2003/12/11 중앙일보
323 우리말 바루기 194 - 참석, 참가, 참여 2003/12/11 중앙일보
322 우리말 바루기 193 - 미망인 2003/12/09 중앙일보
321 우리말 바루기 192 - `…에 다름 아니다` 2003/12/08 중앙일보
320 우리말 바루기 191 - 나아질는지 2003/12/07 중앙일보
319 뱉어/뱉아? 2003/12/04 한겨레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