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9537110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정책, 규정
`스칼렛 요한슨` 틀리고, `스칼릿 조핸슨` 맞다 !
한글날!, 외국명은 제대로 쓰고 있나?
패션브랜드 셀린느 아닌 '셀린', 패리스 힐튼 아닌 '패리스 힐턴'
일반인은 물론 언론에서도 흔히 쓰이는 '스칼렛 요한슨' '랄프 로렌'은 정확한 표기일까.
국립국어원의 정보·언론 외래어 심의 공동위원회가 발표한 외래어 표준 표기법에 의하면 '스칼렛 요한슨'은 '스칼릿 조핸슨'으로 '랄프 로렌'은 '랠프 로런'으로 적어야 정확하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명품패션브랜드 랠프 로런은 흔히 '랄프 로렌'으로, 할리우드 최고의 섹시 스타 스칼릿 조핸슨은 '스칼렛 요한슨'으로 불리거나 보도돼 왔다.
실제로 한 포털 사이트에서 잘못된 표기인 '스칼렛 요한슨'를 입력하면 1000여개가 넘는 기사가 검색됐지만 표준표기인 '스칼릿 조핸슨'을 치면 100여개의 기사밖에 검색되지 않아, 잘못된 표기법을 쓰는 경우가 훨씬 많다는 것이 증명됐다.
한편 이외에 슈퍼모델 '지젤 번천', 얼마전 타계한 3대 테너 '루치아노 파바로티', 신형 휴대전화 '아이폰(iPhone) 등은 표준표기인 것으로 확정됐다.
국립국어원 관계자는 "보통 외래어는 원음을 적는게 올바른 표기로 발표된 내용들은 각계 언론사에 종사하시는 분들과 국어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원음에 기준해 결정한 것들이다"라며 표기법 기준을 설명했다.
그러나 아직도 잘못된 표기가 많은 것에 대해 "잘못된 이름을 관습적으로 그대로 쓰거나 미처 교정되지 않은채 보도되는 경우가 많다. 잘못된 표기라도 이미 굳어졌거나 쓰는 사람이 많으면 협의를 통해 그 표기를 인정할 수는 있지만 원칙을 권장하고 있다"고 전했다.
일반적으로 쓰이는 틀린 표기(왼쪽)과 표준표기
비욘세 놀즈 → 비욘세 놀스
마틴 스콜세지 → 마틴 스코세이지
리즈 위더스푼 → 리스 위더스푼
사라 제시카 파커 → 세라 제시카 파커
패리스 힐튼 → 패리스 힐턴
힐러리 스웽크 → 힐러리 스왱크
다코다 패닝 → 다코타 패닝
에릭 슈미트 → 에릭 슈밋(구글 회장)
맬린다 게이츠 → 멀린다 게이츠(빌 게이츠의 아내이자 빌&멀린다 재단 회장)
하인즈 워드 →하인스 워드
셀린느 → 셀린(명품 패션 브랜드)
일반적으로 쓰이는 이름과 표준표기법이 같은 경우
마돈나
조지 클루니
톰 행크스
실베스터 스탤론
폴 뉴먼
케이트 블란쳇
클린트 이스트우드
제이미 폭스
모건 프리먼
제니퍼 허드슨(영화 '드림걸스'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
플라시도 도밍고
프라다(명품 패션 브랜드)
리바이스 (청바지 브랜드)
2007/10/09 마이데일리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25
한국어 능력시험 연 2회로 늘려… 실무시험도 신설
2007/04/19
세계일보
324
[우리말 다듬기]`레퍼런스` 순화어 `고품질`
2007/04/04
동아일보
323
국어상담소, 제주대서 개관
2007/03/23
조선일보
322
말글 서비스 높이고 한글 세계화할 것
2007/03/15
한겨레
321
[우리말 다듬기]`크로스백` 순화어 `엇걸이가방`
2007/11/21
동아일보
320
<北 `일본식.봉건왕조 찬양 지명 모두 개칭`>
2007/11/06
연합뉴스
319
[우리말 다듬기]`성큰가든` 순화어 `뜨락정원`
2007/10/17
동아일보
318
서울시 행정용어 순수 우리말로 `더 쉽게`
2007/10/11
경향신문
317
`스칼렛 요한슨` 틀리고, `스칼릿 조핸슨` 맞다 !
2007/10/09
마이데일리
316
[우리말 다듬기]`스토리보드` 순화어 `그림줄거리`로
2007/09/19
동아일보
제목
◀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30/62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