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161026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유래를 알면 헷갈리지 않는 `우리말 뉘앙스 사전`

‘아양 떨다’와 ‘응석부리다’는 전혀 다르다. 화려한 아얌, 즉 옛 여성용 방한모(額掩)를 쓰면 사람들의 시선을 끈다는 데서 유래한 말이 ‘아양 떨다’다. 귀염을 받으려고 애교 있게 말하거나 행동한다는 뜻이다. ‘응석부리다’는 아껴주는(惜) 반응(應)을 얻으려는 투정에서 비롯됐다. 어른에게 어리광을 부리거나 귀여워해주는 것을 믿고 버릇없이 구는 것을 말한다.

이런 식으로 단어 400여개의 뉘앙스를 설명하고 있다.

옳고 그름을 제대로 판별 못하는 ‘멍텅구리’는 못생기고 굼뜬 바닷물고기인 ‘멍텅구리’에서 유래했다. 뜻 밖에 운수가 좋다는 의미의 ‘땡 잡다’는 화투놀이에서 모양이 똑같은 화투장이 2개 들어오는 패를 일컫는 말이었다.

‘감감무소식’에서 감감은 ‘아주 멀어서 아득하다’는 ‘감감하다’에서 나왔다. 소식 없음을 강조하려고 무(無) 자를 더했다. 감감소식과 감감무소식 둘 다 표준어다.

‘모둠’은 ‘모으다’는 뜻의 옛말 ‘모두다’에서 유래했다. 모둠 회, 모둠 안주 등이 표준어다. ‘모듬’은 틀린 표기다.

감기의 고유어인 ‘고뿔’은 본디 ‘곳블’이었다. ‘고’는 코(鼻)라는 뜻이고, ‘블’은 불(火)의 옛말이다. 감기에 걸려 흘러내리는 콧물을 닦느라 몹시 바쁜 상태가 돼 ‘코에서 불이 난다’고 그렇게 불렀다.

저자 박영수(테마역사문화연구원장)씨는 “플로베르는 ‘한 가지 생각을 표현하는 데는 오직 한 가지 말 밖에 없다’고 했다. 모파상 역시 ‘우리가 말하려는 것을 살리기 위해서는 한 동사 밖에 없고 그것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한 형용사 밖에 없다. 그러니까 그 한 말, 그 한 동사, 그 한 형용사를 찾아내야 한다. 그 찾는 곤란을 피하고 아무 말이나 갖다 대용함으로 만족하거나 비슷한 말로 맞춰버린다든지, 그런 말의 요술을 부려서는 안된다’고 했다”고 밝혔다.

416쪽, 1만5000원, 북로드

2007/08/16 뉴시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99 한불사전 29년만에 전면 개정 2007/02/02 한겨레
298 외솔 최현배 시조집 출간 2007/02/02 연합뉴스
297 교통방송 아나운서들 `우리말…` 발간 2007/01/17 문화일보
296 우리 말 `억지춘향` 그 유래는 무얼까 2007/01/11 헤럴드경제
295 `속담 대사전` 나왔다 2006/12/11 한겨레
294 속담이 진담이네…정종진교수 `속담사전` 출간 2006/11/30 동아일보
293 `짜장` 구수한 우리말, `라온` 맘으로 공부해요 2006/11/19 한겨레
292 [어린이 책]`고운 우리말 100가지` 2006/11/11 동아일보
291 `광대등걸` `조쌀하다`? 2006/11/06 조선일보
290 오지기 맞았나?, 억수로 맞았나? 2006/10/29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