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155813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서적, 출판
<책> 자주 틀리는 방송 말 모은 `방송화법`
방송은 대중이 가장 쉽고 빠르게 접하는 말하기ㆍ듣기 교재. 그만큼 일상 속에서의 말하기는 방송에 큰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방송에서의 말하기는 모든 말하기의 기준이 돼야 한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의 방송언어는 우리말의 표준으로 자부할 만큼 모범적이지 못했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국립국어원과 MBC가 함께 '방송화법'(커뮤니케이션북스 펴냄)을 발간했다. 올바른 우리말 사용법과 방송 현장에서 흔히 범하는 화법의 오류를 바로잡아주는 실무지침서이다.
이 책은 우리나라 방송 현장의 화법을 개별적인 영역과 상황별 영역으로 나눠 점검한다. 1장 화법 총론에서는 인사법, 경어법, 소개법 등 생활 속 말하기를 살펴본다. 2장 상황별 화법에서는 프로그램 성격에 따른 올바른 말하기 방법을 일러준다.
"따님이 좀 섭섭하셨겠네요"처럼 청자(聽者)보다 더 낮은 대상에 경어를 사용한 경우, "저 머리 모양은 굉장히 젊으신데요"처럼 경어를 사용하지 말아야 할 대상에게 경어를 사용한 경우 등 경어법의 오류를 비롯해 바람직하지 않은 표현들을 짚어본다.
또한 '칠십오 세'와 '일흔다섯 살'을 혼동해 '칠십오 살'이나 '칠십다섯 살'이라고 말하는 경우 등 잘못된 수 읽기도 지적한다.
장소원 서울대 교수와 MBC 강재형 아나운서 등 4명이 지은 이 책은 지난해 펴낸 '보도 가치를 높이는 TV뉴스 문장 쓰기'에 이어 MBC와 국립국어원이 공동 연구로 이룬 두 번째 결실이다.
2007/09/07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69
`직지` 한글ㆍ영어 번역 출판
2006/08/04
대전일보
268
남북 합작 과학기술백과사전 편찬한다
2006/07/20
전자신문
267
서울대 규장각, 소현세자 동궁일기 첫 완역
2006/07/19
세계일보
266
[함께읽어요] 속담의 의미와 정확한 쓰임새
2006/07/10
부산일보
265
우리말,이야기로 다시 태어나다
2006/07/07
국민일보
264
<한글창제 과정 역사추리소설로 재탄생>
2006/07/04
연합뉴스
263
남북 `말의 통일` 30만어휘 단일사전 만든다
2006/07/03
경향신문
262
`겨레말큰사전` 삼천리 방언 적극 발굴
2006/07/03
경향신문
261
원본 白石시집 출간
2006/06/28
연합뉴스
260
`우리말 임자` 찾아…최일남 산문집 `어느 날…`
2006/06/08
동아일보
제목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36/62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