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서표(藏書票)의 내용은 장서가의 직업, 취미, 세계관 등을 압축해서 표현해야 하므로 결국 `사람`으로 귀결된다. 사람과 유리된 예술은 허상(虛像)에 다름 아니다. (후략)"
"한창 피어나는 결식 청소년에게 따뜻한 한 그릇의 밥은 밥이 아니라 사랑이요, 희망이며, 생명수에 다름 아니다."
위의 예에서 보듯 식자(識者)층에서 많이 쓰는 칼럼이나 사설(社說).논평 등 무게 있는 글들에 자주 보이는 이 문구는 일본어에서 들어온 것이다. 이것은 `무엇은 무엇이나 마찬가지다`를 멋들어지게 표현하려고 한 것이나 어색할 뿐만 아니라 문법에도 맞지 않는다.
우리는 서술어로 `다름이다/같음이다`를 쓰지 않고 `다르다/같다`를 쓴다. 이를 부정하는 말도 `다름 아니다/같음 아니다`가 아니라 `다르지 않다/같지 않다`이다. `다르다/같다`와 함께 쓰는 조사도 `에`가 아니라 `와/과`를 쓴다. 그리고 `견주어 보아 같거나 비슷하다`는 뜻으로 `다름없다`라는 훌륭한 단어가 있다. 따라서 `…에 다름 아니다`는 마땅히 `…와/과/이나 다름없다`로 바로잡는 것이 좋다.
한편 지엽적인 얘기를 하다가 본론으로 들어가거나 핵심을 얘기할 때 우리는 관용적으로 `다름 아닌` `다름(이) 아니라` 등을 쓴다. 이는 서술어가 아니라 뒤에 얘기하고자 하는 말을 앞에서 이끈다는 점에서 `…에 다름 아니다`와는 성격이 다르다.
일본어라고 하여 무조건 배척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 그러나 더 정확하고 알맞은 우리말을 살려 쓰려는 노력은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