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4479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서적, 출판
새로 나온 사전 둘

각각 우리말과 한자말을 다룬 사전 두 권이 선을 보였다.

하나는 <바른 말글사전>(한겨레출판). 1996년 한글학회는 “이렇게 신문·잡지, 실용문, 방송을 타고 나오는 말이나 기타 갖가지 글에서 그릇 쓰는지도 모르는 채로 막 쓰고 있는 말과 글투를 모아 엮어낸 사전이 없었다”며 이 사전을 추천했다. 이번 책은 그 개정판. 초판 10여년 만에 엮은이는 우리 말글 현실과 관련해 “그동안 상당히 가지런해졌다고는 하나 관청, 공문서, 법률문, 방송·신문 말글, 학술·실용문, 나아가 문학 글에 이르기까지 로마자·외국어가 판을 치고, 조리는 허술하며, 온갖 상투적 표현이 넘쳐난다”며 “다잡을 게 늘어난 현실이 엉성한 책을 다시 손질하게 만들었다”고 개정 이유를 밝혔다. 그동안 국어기본법이 새로 생기고, 어문규범이 새로 정비된 점도 이유에 포함된다. 특히 어려운 한자말·외래어를 가려 손질하고, “번역문투나 되잖은 상투어”들 중 두드러진 것들을 살피는 데 힘을 썼다.

또 하나는 <우리말 한자어 속뜻사전>(LBH교육출판사). 편저자 전광진 성균관대 교수는 이 사전이 어떤 내용을 담았는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타원’이라는 단어의 뜻풀이를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평면 위의 두 정점에서의 거리의 합이 언제나 일정한 점의 자취”라는 수학적 정의만 나온다. 그런데 왜 하필 타원이라 했는지 그 까닭을 알자면 타(楕)와 원(圓) 두 글자의 뜻을 알아야 하는데, 그러려면 다시 한자자전(옥편)을 찾아봐야 한다. 학생은 물론 선생도 ‘길쭉할 타’라는 훈음을 아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니 옥편을 찾지 않아도 뜻을 알 수 있고, 수학적 정의보다 먼저 ‘길쭉한 동그라미’라는 속뜻을 풀이해 주는 사전이 있으면 우리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한자어 익히기가 훨씬 쉬워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표제어 3만9420개에 부속어 1만8175개 등 모두 5만7520개의 어휘를 수록했다.

2007/11/04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29 쓸모있는 토박이말 익히세요 2007/10/01 연합뉴스
328 한국어 연어사전 첫 출간 2007/10/01 한겨레
327 <사람들> 낱말 해설집 낸 김경원ㆍ김철호씨 2007/07/03 연합뉴스
326 [행복한책읽기Review] 맘마가 일본말이었다니! 2007/03/23 중앙일보
325 국립국어원, <지역어 조사 질문지> 발간 2007/03/14 문화관광부
324 <김민수 교수 `국어정책론` 34년만에 개정> 2007/11/19 연합뉴스
323 `춘향전 스페인어권 4억 인구 읽는다` 스페인어 최초 번역.출간 2007/11/06 뉴시스
322 새로 나온 사전 둘 2007/11/04 한겨레
321 [업계소식-서적]어린이 국어낱말서적 `우리말 바루기` 2007/10/25 서울신문
320 한글날 앞두고 한글 다룬 책 잇따라 출간 2007/09/29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