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048326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정책, 규정
[우리말 다듬기]162개 외래어 반듯한 우리말로 탈바꿈

국립국어원과 본보가 함께 펼치는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www.malteo.net)에서는 ‘트레이드마크(trade mark)’를 ‘으뜸상징’으로 정하는 등 올해 45개의 외래어를 손질했다. 2004년 7월 5일 시작한 이래 지금까지 모두 162개의 외래어를 다듬었다.

누리꾼들은 올해 우리말 다듬기에서 2만2732개의 새로운 말을 제안했으며 8만524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외래어 하나에 평균 505건의 새로운 말을 제안하고 1894명이 투표에 참여한 셈이다. 투표 참여자가 500명 내외이던 2004년 출범 당시와 비교하면 3배 이상으로 늘어났다. 우리말 다듬기 사이트에는 2만5800여 명이 가입해 있다.

올해 제안 건수에서는 ‘프리사이즈(free size·열린치수)’가 631건으로 가장 많았다. 투표 참여자 수에서는 ‘빙고(bingo·맞았어)’가 2213명으로 최고를 기록했다.

올해 마지막 순화 대상인 ‘패딩(padding·털이나 솜을 넣어 누비질한 상의)’을 대신할 ‘누비옷’은 예부터 쓰이던 낱말인데도 누리꾼 투표에서 ‘맵시속바지’(드로어즈)와 함께 올해 최고의 지지(59%)를 받았다. 기존 낱말도 의미 확장을 통해 새로운 외래 문물을 나타내기에 손색없음을 보여 주는 대목이다.

사라진 말이나 방언을 살려 쓴 예도 있다. ‘팬미팅’은 ‘사랑하다’의 옛말인 ‘J다’의 명사형 ‘ㅱㅱ’의 현대식 표기인 ‘다솜’을 활용한 ‘다솜모임’으로 결정됐다. ‘성큰가든’은 ‘뜰’의 북한어 또는 방언인 ‘뜨락’을 활용해 ‘뜨락정원’으로 다듬었다. 입소리손장단(비트박스) 으뜸녀(알파걸) 가락신(조리·草履) 엇걸이가방(크로스백)도 눈길을 끌었다.

그동안 다듬은 말 가운데는 ‘도우미’ ‘사랑’ ‘하늘’같이 느낌이 좋은 순우리말을 활용한 것이 높은 지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길도우미(내비게이션) 민원도우미(옴부즈맨) 경로도우미(실버시터) 사랑구도(러브 라인) 등이 그런 유형이다.

한편 국립국어원은 ‘바다에 유출된 원유나 폐유의 휘발성분이 없어지고 남은 끈적끈적한 덩어리’를 가리키는 ‘오일볼(oil ball)’ 대신 쓸 우리말을 △기름덩어리 △기름뭉치 △기름응어리 △기름죽 △폐유공 등 5개 중에서 ‘모두가 함께하는 우리말 다듬기’를 통해 2008년 1월 7일까지 투표에 부친다. 오일볼 대신 쓸 우리말에는 491건의 제안이 들어왔다.

국어원은 또 ‘잡동사니’ ‘천박한’ 등의 뜻에서 유래해 ‘비전문적이고 저속하며 대중적인 것이나 행위’ 등을 두루 가리키는 말로 쓰이는 ‘키치(kitsch)’를 다음번 다듬을 말로 정하고 2008년 1월 7일까지 공모한다.

2007/12/26 동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45 <오늘은 북한의 한글날..창제일로 기념> 2008/01/15 연합뉴스
344 [우리말 다듬기]`오일볼` 순화어 `기름뭉치` 2008/01/09 동아일보
343 의약품 설명서 쉬운 말로 바뀐다 2008/01/05 뉴시스
342 [우리말 다듬기]162개 외래어 반듯한 우리말로 탈바꿈 2007/12/26 동아일보
341 [우리말 다듬기]`아우터` 순화어 `겉차림옷` 2007/12/19 동아일보
340 [우리말 다듬기]`리퍼브` 순화어 `손질상품` 2007/12/12 동아일보
339 혼란스러운 도로명의 로마자 표기체계 정비된다. 2007/12/11 행정자치부
338 [우리말 다듬기]`크리에이터` 순화어 `광고창작자`로 결정 2007/12/05 동아일보
337 [우리말 다듬기]`해피엔딩` 순화어 `행복결말` 2007/11/28 동아일보
336 [우리말 다듬기]`영건` 순화어 `기대주`로 결정 2007/11/14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