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55941258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절체절명?

절명(絶命)은 “목숨이 끊어짐. 죽음”의 뜻으로 한자를 쓰는 여러 나라에서 두루 쓰지만, 절체절명(絶體絶命)은 오직 일본인들만이 쓰는 말이다.

일본의 삼성당판 <대사전>을 뒤져보면 “ぜつたいぜつめい”(제쓰다이제쓰메이·絶體絶命)를 올림말로 싣고, “위험하거나 곤란한 일을 도저히 피할 수 없는 상황. 막다른 경지에 몰려서 오도가도 못함”이라고 풀고 “~의 궁지(窮地)”를 보기로 싣고 나서, ‘절체’와 ‘절명’은 구성점(九星占)에서 말하는 흉한 별(흉성)의 이름이라고 했다. 그런데 우리나라 학자와 언론인들이 그 말 본래의 뜻과 달리 제멋대로 쓰는 모양은 우습기 그지없어서 서울시의 꼴불견 영어 “하이 서울!”을 떠올린다. 다음 글들에서 따옴표 부분은 화살표대로 고쳐 써야 한다.

*국민회의 ○○○총재와 자민련의 ×××총재는 4·11 총선 이후 여권의 과반수 의석 확보 기도 등 공세적 국정 운영에 공동 대처해야 하는 ‘절체절명의’ 필요에 따라 밀월관계를 유지해 왔다.(ㅈ일보) →긴박한/ 절실한.

*지금이야말로 우리 겨레의 진정한 잠재력을 재확인해 볼 수 있는 ‘절체절명의’ 기회다.(ㅈ일보) →절호의/ 다시 없을.

*우리 전통에 아들이 태어나면 그놈 몫으로 선산에 소나무를 심고, 딸이 태어나면, 밭두덩에 오동나무를 심었다. 그 집안의 ‘절체절명의 소원을’ 위탁한 나무다.(ㅈ일보) →간절한 소원을/ 비원을.

*병들고 고단한 몸이 한가닥 소망조차 끊어져 이제는 ‘절체절명으로’ 머리를 돌에다 부딪쳐 죽어도 시원치 않고, 누구를 깨물어 먹어도 시원치 않을 것 같다.(표준국어대사전) →어쩔 수 없어. ※‘절체절명’을 우리말처럼 올림말로 싣고 이런 예문을 보였다.

이수열/국어순화운동인

2005/04/19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182 [땅이름] 위례성과 아리수 / 허재영 2007/10/17 한겨레
1181 [우리말 바로쓰기] 오랜 기간의 폐업으로( X ) 2007/10/17 조선일보
1180 [국어이야기]든지, 던지 2007/10/16 강원일보
1179 [정재환의 우리말 바로쓰기] `ㅋ`받침은 어떻게 발음할까 2007/09/27 소년한국일보
1178 [말살이] 행여 /우재욱 2007/07/30 한겨레
1177 부사어와 서술어는 가깝게 놓아야… 2007/07/29 한겨레
1176 경계 무너지는 동사와 형용사 2007/12/09 한겨레
1175 바꼈다 (×) → 바뀌었다 (○) 2007/11/28 조선일보
1174 외래어 표기, 유용한 5원칙 2007/11/18 한겨레
1173 <겨레말큰사전 단일 어문규범 의견접근> 2007/11/16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