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S초등 5학년 담임 이선영(38.여)씨는 한 여학생의 작문 숙제를 읽다가 어리둥절했다. 인터넷 접속을 끊는 걸 `나간다` 또는 `퇴장한다`고 하듯 `집에서 나왔다`를 `집에서 퇴장했다`고 표현하는 게 뭐가 이상하냐는 학생의 대답에 더욱 기가 찼다.
李교사는 "원고지에 쓰는 작문에도 웃음소리를 `ㅋㅋㅋ`로 쓰는 건 예사"라고 전했다. 온라인 용어가 어린이들에게 일반화하면서 표준 어법이 망가져 가고 있다는 것이다.
경기 K초등 5학년 3반. 지난달 받아쓰기 시험에서 만점자는 단 한 명도 없었다. `겸허한`을 `겨머안`으로, `멋쩍은`을 `머쩌근`으로 쓰는 등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거나 띄어쓰기를 무시하는 `온라인식 표기` 때문이었다.
온라인 언어가 국어 체계를 흔들고 있다. 온라인 언어는 문자 입력 시간을 줄여 통신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이멜(e-메일) .즐팅(즐겁게 채팅하세요) 등 압축어를 쓰면서 등장했다.
K고 2년 金모군은 "어렸을 때부터 통신 언어를 써왔기 때문에 어떤 표현이 어법에 맞고 틀린 것인지 잘 모르겠다"고 말했다.
언어파괴는 문어(文語)뿐 아니라 일상적인 구어(口語)에서도 나타난다. 초등학생 남매를 둔 宋모(37.여)씨는 "아이들이 게임 사이트에서 쓰는 말이라면서 `즐`(너나 즐겁게 해라) `어쩔`(어쩌라구) 등 알아들을 수 없는 말로 서로 싸우는 것을 보고 놀랐다"고 말했다. 초등학교 교사 이영근(李永根.30)씨는 "학생들이 선생님에게 얘기할 때도 `허걱`, `헐` 등 `온라인용` 감탄사를 그대로 사용한다"고 전했다.
최근엔 특수기호를 입력하는 이른바 `외계어`까지 등장했다. 己ㅣ(리) .0よ(안) . ⓔⓨⓞⓤ(이유).二卍(이만) .雨녕댜(운영자) 등이 그 예다. 중학생 車모(12)양은 "특수문자를 사용해 글을 쓰면 예쁘고 멋있다"고 말했다.
`머…ㆀ우리잘못이있긴하쥐만…ㅊ~~글애두예전에그모습-ㆀ…`(D초등 5학년 李모양의 일기) `…수업이 끝났따. 친구를 만났따`(A초등 6학년 문집)에서처럼 특별한 의미 없는 장식용 기호(ㆀ)도 유행이다.
이정복(李正福) 대구대 국문학과 교수는 "온라인 언어가 ▶일종의 암호를 만들고 해독하는 데서 재미를 느끼고▶사용자들 사이에 동류(同類) 의식을 높이며▶일상에서 벗어난 해방감을 느낄 수 있어 학생들에게 널리 퍼지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언어파괴 반대 운동도 활발=인터넷 언어를 많이 쓰는 10대 네티즌들의 자정(自淨) 노력도 활발하다. 강진향(姜眞香.17.수도여고3)양은 2001년 10월부터 회원수 3천여 명의 `언어파괴를 반대하는 사람들`(cafe. daum. net/antioutside)을 이끌며 바른말쓰기 운동을 벌이고 있다. 10대 포털 사이트 `아이두`가 시작한 `외계어 추방운동`(http://lag.idoo.net)엔 4만여 명이 동참했다.
`듀얼메인보드사용자모임`(http://2CPU.co.kr)등 게시판에서 온라인 언어 사용을 금지하는 사이트들도 생겨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