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5612926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오락연예프로 언어황폐화 우려커요"

“20년 전만 해도 방송에서 외래어 남용이 심각한 수준이었고, 사회가 어수선한 탓인지 경음과 격음이 자주 쓰였어요. 그때에 비해 지금은 많이 좋아진 편입니다.”
KBS 아나운서실 한국어연구회가 창립 20주년을 맞았다. 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는 이명용(57ㆍ사진) 아나운서 실장은 지난 20년간 방송언어 발전과 국어문화 확산을 위해 한길을 달려온 연구회의 업적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말했다.

한국어연구회는 1983년 당시 아나운서 실장이던 전영우(69) 수원대 대우교수가 자발적으로 만든 연구단체로 시작돼 86년 회사에서 정식부서로 인정받았다. KBS 아나운서는 모두 한국어연구회의 당연직 회원이다. 그 동안 펴낸 단행본이 30여권 에 달하고, 교사 공무원 경찰 군인 학생 등을 대상으로 순회 강연도 실시해 왔다.

“얼마 전만 해도 지하철 정차 안내방송은 발음이 또렷하지 않아 알아듣기 힘들었을 뿐 아니라 마치 일본어 말투처럼 리듬을 많이 타 듣기에도 거슬렸지요. 지하철 승무원을 상대로 언어순화의 중요성을 강의한 뒤부터 그런 안내방송이 거의 사라졌습니다.”

매일 20여 통의 문의전화를 받는 아나운서실의 한국어 상담전화(02_781_3838)와 KBS 1TV 및 1라디오의 ‘바른말 고운말’을 통해 올바른 발음과 맞춤법을 널리 알리는 일도 큰 보람이라고 말했다.

“식자층도 우리말을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요. 가령 가장(假裝)과 가장(家長)을 읽을 때 둘 다 ‘가’자를 길게 읽는데, 가장(家長)은 짧게 읽어야 합니다. 또 ‘4자회담’도 ‘사:자회담’으로 읽어야지, 짧게 읽으면 죽은 사람(死者)의 회담이 되고 맙니다.”

그러나 그는 한국어연구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요즘 연예오락 프로그램의 언어 황폐화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가수, 탤런트, 개그맨이 MC를 맡아 국적 불명의 말이나 술좌석에서나 할 수 있는 말을 쏟아놓고 있어요. 마이크 앞에만 서도 공인인데 말이죠. 일본 NHK의 시청자 신뢰지수가 87%나 되는 것은 표준어 사용을 엄격하게 지키기 때문입니다. 공영방송의 올바른 언어 사용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그는 “세 번 이상 부적절한 방송 언어를 사용하는 진행자는 퇴출시키는 삼진아웃 제도를 신설하기 위해 심의실과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한국어연구회는 15일 오후 5시 KBS본관 휴게실에서 자문위원, 전현직 아나운서 등이 참석한 가운데 20주년 기념식을 갖는다.

2003/05/14 한국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874 12월 30일 한국어 연습장 2005/12/30 한겨레
873 [기자도 헷갈리는 우리말] 중개, 중계 2005/12/29 머니투데이
872 12월 23일 한국어 연습장 2005/12/23 한겨레
871 [기자도 헷갈리는 우리말] 놀래다, 놀래키다 2005/12/22 머니투데이
870 ‘차선’과 ‘차로’ 구별해 쓰자 2005/12/19 국정브리핑
869 [우리말 다듬기]`캐포츠` 순화어 `활동복`으로 결정 2005/12/15 동아일보
868 ‘알맞는’은 ‘알맞은’이 바른 표기 2005/12/13 국정브리핑
867 [우리말 바로쓰기] 가엽다-가엾다 2005/12/13 스포츠한국
866 12월 9일 한국어 연습장 2005/12/09 한겨레
865 [우리말 다듬기]‘DIY’순화용어‘손수짜기’로 결정 2005/12/08 동아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