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8009212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언어, 사회 현상
`것`을 어수선하게 쓰는 버릇
<저작권 법 개정으로 아래 링크를 통해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것`을 어수선하게 쓰는 버릇
2017/10/19 오마이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224
[우리말OX] 가름과 갈음? 거치다와 걷히다? 아리송해
2017/02/02
중도일보
3223
[카드뉴스] 우리말 깊이알기 - `거덜이 나다`의 어원은?
2017/02/01
이데일리
3222
[우리말OX] 그렇게 좋던가? 그렇게 좋든가?… 아리송해
2017/02/01
중도일보
3221
[우리말OX] 때깔과 땟갈, 코빼기와 콧배기… 바른 표기는?
2017/01/31
중도일보
3220
아버지 사촌형제가 `삼촌`?…`종숙` `당숙`이라고 부르세요
2017/01/28
연합뉴스
3219
[라이프] 까치 까치 설날은…`까치설날`은 왜 `어저께`일까?
2017/01/27
SBS NEWS
3218
[우리말OX] 희한하다(0) 희안하다(X) 꼼꼼히(0) 꼼꼼이(X)
2017/01/26
중도일보
3217
[바른말 광] 반기문의 스피리트?
2017/01/25
부산일보
3216
심여를 기울이지 말고 `심혈`을…
2017/01/25
머니투데이
3215
[우리말로 깨닫다] 양염쥐는 예외!
2017/01/25
재외동포신문
제목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
131/410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