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0505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254 - 서너/너덧(네댓)

"예전 동네 구멍가게는 서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곳에서 아이들은 온갖 군것질거리를 해결했고, 어머니는 장이 서지 않을 때엔 두부.콩나물.야채 등 반찬거리를 마련했다. 그런 구멍가게가 수퍼마켓.할인점의 대형화와 가격 할인 경쟁에 밀려 점차 사라지고 있다.

대형 할인점이 소비자들에게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 `한두` 개만 필요한 물품인데 일부는 `세네` 개나 `너댓` 개씩 포장돼 있어 과소비를 부채질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

또한 구멍가게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생계를 꾸리기 위해 사업을 하는 서민들이다. 그들에겐 구멍가게가 삶 그 자체다."

위 글에 나오는 `세네` `너댓`은 올바른 우리말 표기가 아니다. `서너` `너덧(네댓)`으로 해야 옳다.

수량을 나타내는 관형사 중 두 가지 수량을 한꺼번에 표시하는 것으로는 `한두, 두세, 서너, 너덧(네댓.네다섯.너더댓), 대여섯, 예닐곱` 등이 있다. 이 중 `한두, 두세, 대여섯, 예닐곱` 등은 일반인들이 헷갈리지 않고 바르게 쓰고 있는데 반해 `서너`와 `너덧`은 `세네 (개)`, `너댓 (개)`등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서너`는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그 수량이 셋이나 넷임을 나타내는 말`(서너 되/서너 명/서너 사람/서너 포기/서너 집)이며, `너덧`은 `넷이나 다섯쯤 되는 수. 또는 그런 수`를 뜻한다. `너덧`의 동의어로는 `네댓, 너더댓, 네다섯` 등이 있다.

2004/03/17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68 `황산벌 전투` 때 무슨 말 썼을까? 2003/10/21 주간조선
267 [함초롬한우리말]옮긴이·찍은곳·빠르기‥ 2003/09/07 한겨레신문
266 [네티즌글사랑] `알타리김치` X `총각김치` ○ 2003/08/03 굿데이
265 [함초롬한우리말]‘머큐로크롬’ 보다는 ‘빨간약’ 2003/08/03 한겨레신문
264 [우리말 바루기] `율`과 `률` 2003/03/25 중앙일보
263 터主? 2003/10/20 한겨레신문
262 우리말 바루기 156 - `메다`와 `매다` 2003/10/19 중앙일보
261 <해석이 되지 않았던 고려말 단어 뜻 확인> 2003/10/16 연합뉴스
260 우리말 바루기 154 - 눈곱/눈살/등쌀 2003/10/15 중앙일보
259 우리말 바루기 152 - `벌이다`와 `벌리다` 2003/10/13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