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16562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254 - 서너/너덧(네댓)

"예전 동네 구멍가게는 서민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그곳에서 아이들은 온갖 군것질거리를 해결했고, 어머니는 장이 서지 않을 때엔 두부.콩나물.야채 등 반찬거리를 마련했다. 그런 구멍가게가 수퍼마켓.할인점의 대형화와 가격 할인 경쟁에 밀려 점차 사라지고 있다.

대형 할인점이 소비자들에게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다. `한두` 개만 필요한 물품인데 일부는 `세네` 개나 `너댓` 개씩 포장돼 있어 과소비를 부채질하는 측면도 없지 않다.

또한 구멍가게를 운영하는 사람들은 생계를 꾸리기 위해 사업을 하는 서민들이다. 그들에겐 구멍가게가 삶 그 자체다."

위 글에 나오는 `세네` `너댓`은 올바른 우리말 표기가 아니다. `서너` `너덧(네댓)`으로 해야 옳다.

수량을 나타내는 관형사 중 두 가지 수량을 한꺼번에 표시하는 것으로는 `한두, 두세, 서너, 너덧(네댓.네다섯.너더댓), 대여섯, 예닐곱` 등이 있다. 이 중 `한두, 두세, 대여섯, 예닐곱` 등은 일반인들이 헷갈리지 않고 바르게 쓰고 있는데 반해 `서너`와 `너덧`은 `세네 (개)`, `너댓 (개)`등으로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서너`는 일부 단위를 나타내는 말 앞에 쓰여 `그 수량이 셋이나 넷임을 나타내는 말`(서너 되/서너 명/서너 사람/서너 포기/서너 집)이며, `너덧`은 `넷이나 다섯쯤 되는 수. 또는 그런 수`를 뜻한다. `너덧`의 동의어로는 `네댓, 너더댓, 네다섯` 등이 있다.

2004/03/17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218 애매모호의 ‘애매한’ 만남 2003/07/14 미디어오늘
217 [함초롬한우리말]‘깎아팔기’로 쓰는 마음 2003/07/13 한겨레신문
216 [우리말 클리닉] ‘간하다’와 ‘맛내다’의 차이 2003/07/10 파이낸셜뉴스
215 [네티즌글사랑] 설레이다 X -> 설레다 O 2003/07/06 굿데이
214 [함초롬한우리말]‘이산가족상봉’을 우리말로.. 2003/07/06 한겨레신문
213 공대법 글 쓸 때도 적용… 기사는 예외 2003/07/03 파이낸셜뉴스
212 [함초롬한우리말](92) 물스키 2003/06/29 한겨레신문
211 [우리말 클리닉] 과거∼미래시제 분리·표현해야 명확 2003/06/26 파이낸셜뉴스
210 [함초롬한우리말](91) 비, 별, 노을 2003/06/22 한겨레신문
209 [엠파스 지식거래소-그건 이래요] 갈매기살의 유래 2003/06/20 스포츠투데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