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1444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젊은 세대 국어사랑 의식 약해지는 경향

젊은 세대일수록 국어사랑 의식이 약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문화관광부는 현대리서치연구소에 의뢰, 지난 9월 24-26일 서울, 부산, 대전, 광주, 제주, 강릉에 거주하는 20세 이상 성인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국어의식에 대한 전화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민들은 대부분 국어는 아름답고 좋은 언어(89.2%)이며, 한글은 우수한 문자(89.3%)라고 생각하는 등 국어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다.

또 76.7%가 국어를 사랑하고 아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국어를 사랑하고 아끼는가를 묻는 이 질문항목에서 `매우 그렇다`는 응답을 연령별로 보면 20대 39.1%, 30대 43.8%, 40대 67.6%, 50대 79.5%, 60대 74.1% 등으로 세대에 따른 편차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서울대 최명옥 국어국문과 교수는 이에 대해 "젊은 세대의 국어사랑 의식이 약해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풀이했다.

93.7%가 국어능력(말하기.듣기.읽기.쓰기영역)이 보통수준 이상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 가장 부족하다고 느끼는 영역은 쓰기(45.5%)와 말하기(37.0%)라고 응답, 표현영역에서 많은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학이상 40.5%, 고졸이하 38.0%, 중졸이하 21.5% 등의 순으로 말하기 능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돼 학력이 높을수록 말하기 영역에서 더 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됐다.

국어사용 중간에 외래어.외국어를 섞어 쓰는 표현이 더 세련되게 들린다는 생각에 동의하느냐는 물음에 대해서는 `동의하지 않는다`(51.2%)는 응답이 `동의한다`(26.8%)는 대답보다 많았다.

법적인 제도화를 통해 적극적으로 외래어.외국어 사용을 막아야한다는 견해에 대해서는 `동의한다`(49.0%)는 대답이 `동의하지 않는다`(29.5%)는 응답보다 많이 나왔다.

인터넷상에서 어문규범을 지키는 일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33.2%가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20대의 경우 20.5%만이 `반드시 지켜야 한다`고 대답, 인터넷상의 언어파괴 현상에 대한 젊은 세대의 태도를 드러냈다.

2003/10/08 연합뉴스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19 ‘너무나’라는 말 부정적 뒷말 올 때만 옳아 2003/09/16 한겨레신문
418 [열린 마당] 방송 출연자 바른말 사용 신경써야 2003/09/01 중앙일보
417 <옥스퍼드 사전, 구두점 `, - 퇴장 예고> 2003/08/22 연합뉴스
416 "교포 3-4세 한글알아야 `뿌리` 압니다" 200/08/03 세계일보
415 국적불명 車용어 제대로 쓰자 2003/10/13 동아일보
414 ‘행정용어’ 외래어 쓰기 앞장 2003/10/10 한겨레신문
413 `과학용어 한글화 `맥 끊겼다 2003/10/09 헤럴드경제
412 [만물상] 한글 2003/10/09 조선일보
411 부끄러운 한글날을 맞으며 2003/10/08 한국일보
410 젊은 세대 국어사랑 의식 약해지는 경향 2003/10/08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