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2280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행정용어’ 외래어 쓰기 앞장

관공서들이 행정업무를 하면서 우리말을 두고 외국어를 지나치게 많이 섞어쓰는 탓에 주민들의 말글살이에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광주시가 최근 국정감사용으로 만든 30쪽 짜리 <시정보고> 안에는 어려운 한자말과 어색한 외국어가 뒤섞여 있어 혼란스럽다.

이 문서 안에는 ‘광산업 클러스터(집적단지)’‘문화산업 메카(중심) ’‘알엔디(R&D 연구개발)’ ‘문화적 리모델링(재단장)’ ‘테마파크(주제공원)’ 따위 외국어를 차용한 용어와 개념이 분별없이 남발됐다.

‘민관 파트너십 형성 워크숍’‘시민실천 챌린지 항목 설정’‘환경전문가 풀(POOL)제 운영’등은 우리말로 충분하게 표현할 수 있는 데도 외국어를 뒤섞어 써서 어색해졌다.

또 표지의 제목, 문서의 색인, 중요한 문구, 강조할 단어 등은 우리말 대신 한자어를 쓰는 편견도 드러났다.

광주시는 이밖에 다른 문서도 작성의 형식만 통일할 뿐 표기와 용어는 원칙을 세우지 않은 채 부서별 판단에 따라 만들어왔다.

전남도도 ‘투 포트 시스템(양항체계)’‘포트 세일즈(입항유치)’‘허브(중심·축)’‘테크노파크(기술단지)’‘인프라(기반) 구축’ 따위 용어를 무비판적으로 써왔다.

다만, 전남도는 종합민원실에 ‘고객 말씀 듣는방’, 민원실 옆 휴식공간에 ‘내외부 고객 쉼터’라는 간판을 따로 붙여 민원부서부터 알기 쉬운 우리말을 활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광주시 쪽은 “이해를 돕기 위해 공문서에 외국어나 한자말을 섞어쓴다”며 “정부가 1991년 ‘행정용어 바르게 쓰기에 관한 규정’을 만들고 1992년 순화대상 행정용어 8673개를 골라 편람을 내논 뒤 이렇다할 후속 조처가 없어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성연 조선대 국문과 교수는 “공문서만 보면 관공서의 국적이 어딘지 혼란스럽다”며 “관공서는 대중의 말글살이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어사용법을 제정해 원칙을 세워야한다”고 말했다.

2003/10/10 한겨레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19 ‘너무나’라는 말 부정적 뒷말 올 때만 옳아 2003/09/16 한겨레신문
418 [열린 마당] 방송 출연자 바른말 사용 신경써야 2003/09/01 중앙일보
417 <옥스퍼드 사전, 구두점 `, - 퇴장 예고> 2003/08/22 연합뉴스
416 "교포 3-4세 한글알아야 `뿌리` 압니다" 200/08/03 세계일보
415 국적불명 車용어 제대로 쓰자 2003/10/13 동아일보
414 ‘행정용어’ 외래어 쓰기 앞장 2003/10/10 한겨레신문
413 `과학용어 한글화 `맥 끊겼다 2003/10/09 헤럴드경제
412 [만물상] 한글 2003/10/09 조선일보
411 부끄러운 한글날을 맞으며 2003/10/08 한국일보
410 젊은 세대 국어사랑 의식 약해지는 경향 2003/10/08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