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891276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교포 3-4세 한글알아야 `뿌리` 압니다"

"한민족 네트워크의 강화와 한국문화의 해외전파를 위해 해외동포 3,4세 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며 이를 위해 재외동포들이 운영하는 한글학교에 대한 지원이 어느 때보다 절실합니다."

해외 한글학교 교사 등을 대상으로 지난달 29∼31일 `2003 한국학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 서영훈(사진) 재외동포교육진흥재단 이사장은 1일 인터뷰에서 한글학교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역설하고 구체적인 지원방향을 정부와 협의해 적극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 이사장은 "해외에 나가서 여러가지 이야기를 들어보면 한글학교에서 한글과 한국문화를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곳은 몇 군데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며 "미국만 해도 전역에 1800개의 한글학교가 있지만 30∼40개 이외에는 제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한글학교 교사들의 자질이 낮은 편인데다 교육시스템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반면 한국정부의 지원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서 이사장은 "해외에서 이른바 잘 나가는 동포실업인들도 한글학교에 대한 지원에는 별반 관심을 두지 않고 있는 등 교포사회의 한글학교에 대한 지원도 미미한 상태여서 국내외 전반적으로 주의를 환기시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대한적십자사 총재직을 겸하고 있는 그는 "해외 한글학교에서 교포 3,4세들에게 한국에 대한 이야기를 제대로 교육시켜주지 못한다면 그들은 한민족이라는 뿌리를 잃고 말 것"이라며 "정부와 기업인들이 체계적으로 이 문제를 들여다 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한국학국제학술대회는 이런 문제를 해결해 나갈 첫 단추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일단 350명의 교사들이 낸 6개 건의안을 정부에 개진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대회에는 전세계 15개국 350명의 해외 한글학교 교사 및 교육관계자들이 참여해 한글 및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이 이뤄졌으며 이들 교사에 대한 교육도 동시에 실시됐다. 한글학교는 주로 주말을 이용해 해외동포 자녀들에게 한글 및 한국문화를 가르치는 교육기관이다.

200/08/03 세계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19 ‘너무나’라는 말 부정적 뒷말 올 때만 옳아 2003/09/16 한겨레신문
418 [열린 마당] 방송 출연자 바른말 사용 신경써야 2003/09/01 중앙일보
417 <옥스퍼드 사전, 구두점 `, - 퇴장 예고> 2003/08/22 연합뉴스
416 "교포 3-4세 한글알아야 `뿌리` 압니다" 200/08/03 세계일보
415 국적불명 車용어 제대로 쓰자 2003/10/13 동아일보
414 ‘행정용어’ 외래어 쓰기 앞장 2003/10/10 한겨레신문
413 `과학용어 한글화 `맥 끊겼다 2003/10/09 헤럴드경제
412 [만물상] 한글 2003/10/09 조선일보
411 부끄러운 한글날을 맞으며 2003/10/08 한국일보
410 젊은 세대 국어사랑 의식 약해지는 경향 2003/10/08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