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00115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열린 마당] 방송 출연자 바른말 사용 신경써야

언론매체가 국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은 막대하다. 특히 언어와 관련해서는 더욱 그렇다. 따라서 언어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는 요즘 같은 시기에는 바른 우리 말을 지키고 널리 보급하는 데 언론들이 앞장서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최근 TV방송을 보고 있으면 고운 말을 사용하기는커녕, 상식 이하의 표현을 자주 접하게 된다. 손님으로 출연한 대학교수 등 저명인사는 물론이려니와 방송계에 몸 담고 있는 진행자들도 별다른 생각 없이 사소한 실수들을 반복하는 것이다. 수많은 시청자들이 보고 있는 방송에서 `우리나라`를 `저희나라`라고 하고 `매출`이라고 해야 할 것을 `매상`이라고 말하는가 하면 `남편`을 `오빠`나 `아빠`같이 이해할 수 없는 호칭으로 부르는 경우도 다반사다.

이런 무성의한 방송은 듣는 이들에게 심한 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것은 물론, 언어순화 운동에 역기능을 초래하고 자라나는 청소년들의 국어교육에도 심각한 폐해를 유발할 것이다. 방송국들은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바른 언어 사용에 대한 연구와 교육을 더욱 많이 해야 할 것이다.

김갑일.인천 남구 문학동

2003/09/01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19 ‘너무나’라는 말 부정적 뒷말 올 때만 옳아 2003/09/16 한겨레신문
418 [열린 마당] 방송 출연자 바른말 사용 신경써야 2003/09/01 중앙일보
417 <옥스퍼드 사전, 구두점 `, - 퇴장 예고> 2003/08/22 연합뉴스
416 "교포 3-4세 한글알아야 `뿌리` 압니다" 200/08/03 세계일보
415 국적불명 車용어 제대로 쓰자 2003/10/13 동아일보
414 ‘행정용어’ 외래어 쓰기 앞장 2003/10/10 한겨레신문
413 `과학용어 한글화 `맥 끊겼다 2003/10/09 헤럴드경제
412 [만물상] 한글 2003/10/09 조선일보
411 부끄러운 한글날을 맞으며 2003/10/08 한국일보
410 젊은 세대 국어사랑 의식 약해지는 경향 2003/10/08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