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0964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너무나’라는 말 부정적 뒷말 올 때만 옳아

세상이 변화함에 따라 언어의 모습도 변화한다.
지금도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한언어의 변형이 발생하고 있고 정체불명의 언어가 생겨나고 있다.

그러나 언어가 변한다고 해서 틀린 언어가 매체를 통해 계속적으로 보도되고 쓰이고 있음은 언어사용의 체계를 흔드는 일이 될 것이다.

자주 쓰이면서도 혼동되고 있는 단어 중의하나는 ‘너무나’라는 부사어와 ‘진검승부’라는 단어이다.

‘너무나’라는 단어는 반드시 뒷말이 부정적인 의미가 수반되어야 하며, ‘진검승부’라는 언어는 어느 국어사전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정체불명의 단어다.

이러한 부적절한 단어사용에 대해 우리 언론은 쉽게 용서하였고 현재도 올바로 쓰고자 하는 노력들을 기울이지 않는 듯하다.

국민의 귀와 입을 대변한다는 신문과 방송에서 이러한 언어사용을 올바르게 하지 않는 이상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언어 환경에서 올바른감시자 구실은 할 수 없을 것이며 과학적이라고 자랑하는 이 한글도 언젠가는 소리소문 없이 사라질지 모른다.

2003/09/16 한겨레신문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19 ‘너무나’라는 말 부정적 뒷말 올 때만 옳아 2003/09/16 한겨레신문
418 [열린 마당] 방송 출연자 바른말 사용 신경써야 2003/09/01 중앙일보
417 <옥스퍼드 사전, 구두점 `, - 퇴장 예고> 2003/08/22 연합뉴스
416 "교포 3-4세 한글알아야 `뿌리` 압니다" 200/08/03 세계일보
415 국적불명 車용어 제대로 쓰자 2003/10/13 동아일보
414 ‘행정용어’ 외래어 쓰기 앞장 2003/10/10 한겨레신문
413 `과학용어 한글화 `맥 끊겼다 2003/10/09 헤럴드경제
412 [만물상] 한글 2003/10/09 조선일보
411 부끄러운 한글날을 맞으며 2003/10/08 한국일보
410 젊은 세대 국어사랑 의식 약해지는 경향 2003/10/08 연합뉴스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