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1158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202 - 발자국 소리

여러분은 혹시 `발자국 소리`를 들어 보신 적이 있는지? 들어 보신 분이라면 그분은 흔적에서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초능력을 지니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일반인은 `발자국 소리`를 들을 수 없다. 발자국은 소리가 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다른 모든 발자국 소리들과는 다른 발자국 소리를 나는 알게 되겠지. 다른 발자국 소리들은 나를 땅 밑으로 기어들어가게 만들지만 네 발자국 소리는 마치 음악처럼 여겨져서 그걸 들으면 난 땅 밑 굴에서 뛰어나가게 될 거야."(`어린 왕자`의 한 번역본 제21장 중에서)

"가쁜 숨을 내쉬며 골목을 달리는 신문 배달원의 발자국 소리가 하루를 연다."

"아침 저녁 여러 번 나는 당신의 발자국 소리를 들었습니다."

이처럼 `발자국 소리`는 틀린 표현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을 정도로 아주 많이 쓰이고 있다. 발자국은 `발로 밟은 자리에 남아 있는 발의 자국`을 말하며,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쓰여)발을 한 번 떼어 놓는 걸음을 세는 단위`(=발짝)를 뜻한다. 따라서 발을 옮겨 디딜 때 발이 바닥에 닿아서 나는 소리는 `발자국 소리`가 아니라 `발소리`라고 해야 바른 표현이다.

"내가 막 골목으로 접어들어 조금 걸어왔을 때 뒤에서 서두르는 듯한 발소리가 들렸다" "시인은 배추흰나비와 밀잠자리의 늦잠을 지켜주기 위해 발소리를 죽인 채 살금살금 그 곁을 떠났다" "저것은 아버지의 발소리다"처럼 써야 한다.

2003/12/22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28 우리말 바루기 313 - 해콩 / 햇과일 / 햅쌀 2004/06/14 중앙일보
427 우리말 바루기 310 - 대단원(大團圓) 2004/06/09 중앙일보
426 우리말 바루기 309 - 힘이 되는 구절 2004/06/08 중앙일보
425 우리말 바루기 296 - 알은척하다 2004/05/18 중앙일보
424 우리말 바루기 289 - 실업난(?) 2004/05/10 중앙일보
423 우리말 바루기 285 - 배식구·퇴식구 2004/05/03 중앙일보
422 우리말 바루기 272 - 돋히다 / 돋치다 2004/04/13 중앙일보
421 우리말 바루기 257 - `패였다`와 `채였다` 2004/03/22 중앙일보
420 우리말 바루기 202 - 발자국 소리 2003/12/22 중앙일보
419 우리말 바루기 199 - `뿐`의 띄어쓰기 2003/12/17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