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다지기
어휘 다듬기
문장 다듬기
문단 다듬기
글쓰기에 앞서
글쓰기의 기본
글쓰기의 단계
문장과 단락
글의 유형
하나의 글
논술교실
단원 평가
전체 평가
한글맞춤법
표준어 규정
문장부호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조선말규범집(북한)
가정에서 쓰는 말
사회에서 쓰는 말
높임법
일상생활의 인사말
특정한 때의 인사말
간추린 우리말 화법
용어 뜻풀이
한글의 역사
훈민정음
세종대왕
들른 이 17991656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컴퓨터, 기술
|
인물
|
서적, 출판
|
언어, 사회 현상
어휘 풀이
|
단체, 모임
|
교육, 학술
|
정책, 규정
어휘 풀이
우리말 바루기 285 - 배식구·퇴식구
학교나 회사 식당 등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용어가 `배식구` `퇴식구`다. 식당에 있는 표지판을 보면 무슨 말인지 짐작할 수 있지만, 단어 자체로는 이해하기 어려운 한자어다.
좀 길어져도 `배식구(配食口)`는 `밥 타는 곳`, `퇴식구(退食口)`는 `식기 반납하는 곳` 또는 `식기 반납` 등으로 쉽게 고쳐 쓸 수 있는 것이다.
얼마 전 한 단체가 공항에서 탑승 대기자를 대상으로 기내 좌석에 붙은 국.한문 혼용 안내문구 `救命胴衣(구명동의)는 座席(좌석) 밑에 있습니다`에 대한 이해 정도를 조사한 결과 한국인의 55%, 일본인의 40%, 중국인의 66%가 이해하지 못했다고 한다.
한국인의 절반 이상이 한글이 있음에도 이 문구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문제다. 생명과 직결될 수 있는 안내문구가 일반인이 이해하기에 너무 어려운 한자어로 돼 있다는 얘기다.
잘못 사용하면 치명적 부작용을 일으키는 의약품의 포장지에도 `경구 투여 금지`라는 설명이 적힌 것이 있다. `먹으면 안 된다`는 말이 이토록 어려운 한자어로 돼 있으니 애들은 물론 어른도 무슨 말인지 알 수가 없다.
1992년 정부가 순화 대상 용어 편람을 내놓고, 각 기관이 일본식 한자어나 어려운 한자어로 된 행정.법률용어 등을 쉬운 말로 고쳐 쓰는 운동을 펴고 있지만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 배식구.퇴식구 역시 식품위생법에 나오는 용어다.
어려운 한자어는 권위적인 냄새를 풍기기도 한다. 배식구.퇴식구처럼 마음만 먹으면 쉬운 말로 고쳐 쓸 수 있는 단어가 주변에 많다. 어려운 한자어는 현재의 한글 세대와 맞지 않는다.
2004/05/03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28
우리말 바루기 313 - 해콩 / 햇과일 / 햅쌀
2004/06/14
중앙일보
427
우리말 바루기 310 - 대단원(大團圓)
2004/06/09
중앙일보
426
우리말 바루기 309 - 힘이 되는 구절
2004/06/08
중앙일보
425
우리말 바루기 296 - 알은척하다
2004/05/18
중앙일보
424
우리말 바루기 289 - 실업난(?)
2004/05/10
중앙일보
423
우리말 바루기 285 - 배식구·퇴식구
2004/05/03
중앙일보
422
우리말 바루기 272 - 돋히다 / 돋치다
2004/04/13
중앙일보
421
우리말 바루기 257 - `패였다`와 `채였다`
2004/03/22
중앙일보
420
우리말 바루기 202 - 발자국 소리
2003/12/22
중앙일보
419
우리말 바루기 199 - `뿐`의 띄어쓰기
2003/12/17
중앙일보
제목
◀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
435/477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
(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