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900114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새 우리말 바루기 44. `떼어 논/따논` 당상

올림픽 체조 경기에서 양태영 선수가 심판들의 이해할 수 없는 판정으로 금메달을 빼앗겼다. TV를 지켜보면서 국민 모두는 금메달을 `떼어 놓은 당상`으로 생각했지만 결과는 동메달에 머물렀다.

이처럼 어떤 일이 확실하여 조금도 틀림이 없이 진행될 것이란 의미로 `떼어 놓은 당상` `떼 놓은 당상` `따 놓은 당상` `떼논 당상` `따논 당상` 등 여러 가지가 쓰이고 있으나 이 중에 `떼논 당상` `따논 당상`은 틀린 말이다.

원래 `당상(堂上)`이란 `정3품 이상의 벼슬`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로, 이들 관원을 `당상관(堂上官)`이라 했다. 이들만이 망건에 옥관자.금관자를 달고 다녔다.

`떼어 놓은 당상`은 `따로 떼어 놓은 옥.금관자`처럼 당상관 외에는 아무런 필요가 없어 누가 가져갈 리 없고, 옥이나 금 등 부식되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 변하는 일이 없는, 즉 확실한 일, 으레 자기가 차지하게 될 것이 틀림없는 일을 나타낸다.

현재의 국어사전은 `떼어 놓은 당상` `떼 놓은 당상` `따 놓은 당상`을 모두 인정하고 있다. `떼어`는 `떼`로 줄여 쓸 수 있다. 어간 `떼` 뒤에 유사한 음인 보조적 연결어미 `어`가 생략된 것이다. `베어`를 줄여 `베`라고 하거나 `세어`를 줄여 `세`라고 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받침 `ㅎ`소리가 줄어 나타나지 않는 용언은 형용사인 경우 (까맣다-까마니, 퍼렇다-퍼러며) `ㄴ` `ㅁ`앞에서만 가능하므로, 동사인 `떼어 놓은, 따 놓은`을 `떼어 논, 따논`으로 표기하는 것은 잘못이다.

2004/09/01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458 새 우리말 바루기 66. `피난`과 `피란` 2004/10/06 중앙일보
457 새 우리말 바루기 63. 뜨거운 감자 2004/10/03 중앙일보
456 새 우리말 바루기 61. `컬러`와 `칼라` 2004/09/29 중앙일보
455 새 우리말 바루기 59. 파라네/파래지다 2004/09/22 중앙일보
454 새 우리말 바루기 58. `애기야 가자` 2004/09/21 중앙일보
453 새 우리말 바루기 57. 꾀하지 마라, 꿰고 있다 2004/09/20 중앙일보
452 새 우리말 바루기 56. 떡값·촌지·뇌물 2004/09/19 중앙일보
451 새 우리말 바루기 54. `~되다` 를 줄여 쓰자 2004/09/15 중앙일보
450 새 우리말 바루기 51. 비표준어에 딴죽 걸기 2004/09/12 중앙일보
449 새 우리말 바루기 45. 트레킹과 트래킹 2004/09/02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