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56439176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짧게`보다 `정확하게`가 중요하다

이해하기 어려운 여러 유형의 문장들이 있다. 자주 제시되는 유형은 축소되고 간략한 표현을 가진 문장이다. 글쓴이는 축약된 문장의 의미를 자신이 이해한 것처럼 독자도 이해할 것으로 생각한다. 하지만 독자는 축약된 문장의 의미를 오해하기 쉽고 글쓴이 자신도 그 문장을 다시 읽을 때 의미를 혼동할 수 있다. 축약된 문장은 어법에 맞지 않는 부자연스러운 문장이 되기 쉽다. 어법에 맞지 않는 문장이 상대방에게 어떤 인상을 줄지 쉽게 가늠할 수 있다. 다음 문장을 보자.

〈서울은 해방 이후 집중적인 투자로 급속 성장의 가도를 달려왔다.〉

이 문장의 의미를 대략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문장을 꼼꼼히 다시 읽으면 그 의미가 다소 분명하지 않다. 정확히 ‘무엇이’ 서울에 집중 투자되었는지 알 수 없다. 서울의 ‘무엇’이 급속히 성장하였는지 분명하지 않다. ‘급속’, ‘가도’라는 어휘를 선택한 것도 부적절하지만 ‘급속 성장의 가도’는 낯설고 우스꽝스런 표현이다. 조사 ‘-의’는 문장의 의미를 애매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나의 집’처럼 소유 관계가 아니면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편이 낫다. 위 문장은 이렇게 바꿀 수 있다.

〈해방 이후, 정부는 서울의 낙후 지역을 개발하기 위해 많은 예산을 배정하였고 그 결과로 짧은 기간 내에 서울은 새로운 도시로 거듭났다.〉

또 다른 문장을 보자.

〈사회적 정의는 한정적인 의미의 경제적 정의와 동일한 개념이다.〉

이 문장은 ‘사회적 정의’와 ‘경제적 정의’는 같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정적인 의미’가 정확히 무엇을 말하는지 분명하지 않다. 아마도 ‘의미가 제한되었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한정적인 의미의 경제적 정의’도 분명하지 않다. 조사 ‘-의’는 문장을 축약시켜 정확한 의미를 온전히 전달하지 못한다. 위 문장은 다음과 같이 바꿀 수 있다.

〈사회 정의는 경제 정의와 같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하지만 경제 정의는 사회 정의보다 제한된 의미를 가진다.〉

수정된 문장들은 처음 문장들보다 길다. 하지만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내용을 전달하기 때문에 잘 읽히고 독자를 잘못된 이해로 이끌지 않는다. 또한 글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만들어 준다. 문장을 풀어쓰는 습관은 글쓴이가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고 정확하게 만들 수 있도록 돕는다. 말을 통해 상대방에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할 때도 도움을 준다.

2006/05/22 조선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750 [말글살이] 시들음병/시듦병 / 강재형 2011/09/30 한겨레
1749 [말글마당] 아 다르고 아 다르다 2011/09/29 매일경제
1748 [성병휘의 교열 斷想] 진정한 사랑 2011/09/26 매일신문
1747 [말글마당] 부딛치다(×) 부딪치다(○) 2011/09/22 매일경제
1746 [성병휘의 교열 斷想] 먹거리·짜장면 2011/09/19 매일신문
1745 [말글마당] 며칠과 몇 일 2011/09/15 매일경제
1744 [말글마당] 학(虐)을 떼다 2011/09/08 매일경제
1743 [성병휘의 교열 斷想] 선선한 바람 2011/09/05 매일신문
1742 [말글마당] 한가위 2011/09/01 매일경제
1741 [성병휘의 교열 斷想] 사전 찾기 2011/08/29 매일신문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