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55903247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언어, 사회 현상
[분수대] 기피 지명



도둑이 들끓어서 `도둑골` 로 불린 마을 이름이 도덕리(道德里)가 됐다. 감옥이 있어 `옥밭거리` 로 불리던 지명이 옥(獄)을 옥(玉)으로 미화해 옥 동(玉洞)으로 고친 경우도 있다.

서울 재동(齋洞)은 원래 재(灰)를 뿌렸다는 데서 비롯됐는데 그 유래가 싫어 같은 음의 한자로 바꾸었다. 수양대군이 단종의 신하들을 도륙, 온 동네에 진동하는 피비린내를 없애기 위해 재를 뿌려 생긴 `잿골` 이란 이름에서 피비린내를 다시 지운 것이다.

세상에 존재하는 것에는 무릇 이름이 있다. 아니 이름이 있음으로 해서 세상의 모든 것은 비로소 인간에게 의미있는 그 무엇이 된다. 하물며 삶의 터전인 땅마다에 이름이 없을 수 없다. 지명(地名)은 이미 본관(本貫)으로서 우리 이름에도 들어와 있으며 땅의 인연이야말로 평생 삶에 있어 핏줄의 인연만큼이나 질기다는 걸 사이버 시대에도 절감하고 있지 않은가.

지명은 원래 그 모양새나 기후 등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우리말로 생겨났다가 신라 경덕왕 때 두 음절의 한자로 바뀌었다. 왕조가 바뀌고 일제에 나라를 빼앗겼을 때 민심 장악과 행정 편의를 위해 지명은 계속 바뀌어 왔다.

또 자연적 지명 외에 사회의 발전에 따라 경제.군사.교통.문화 등에서 연유한 지명들이 계속 생겨나고 있다. 때문에 지명은 풍토적 특성뿐 아니라 그 지역의 문화와 역사.경제, 그 땅 사람들의 품성까지도 들여다볼 수 있는 총체적 문화재다.

최근 창피하게 들릴 수도 있는 동네 이름을 바꿔달라고 주민들이 나서고 있다(본지 3월 13일자 26면). 뱀이 많아서 큰 뱀이란 뜻의 `巴` 자가 들어간 파산동(巴山洞)은 기업.가계 할 것 없이 거덜나고 있는 불황 중 파산(破産)과 음이 같다며, 예부터 세금으로 거둬들인 미곡을 보관하기 위해 전국에 널려 있는 창고에서 유래된 지명 중 사창리.남창리 등은 사창가(私娼街)를 떠올리게 한다며 개명을 요구하고 있다.

도덕과 윤리.명분을 중시해 이에 위배되는 지명은 기피돼 왔다. 남녀의 생식기와 같은 지형으로 인해 자연적으로 불려온 상스런 이름들도 웅산(雄山).여문(女門)등으로 바뀌었다. 지명은 사회의 격변에 의해 바뀌고, 또 바로잡히기도 하며 그 지역의 역사를 층층이 쌓아 가고 있다. 때문에 오늘 그 땅 위에 사는 주민 대부분이 원한다면 유서 깊고 고운 이름으로 마땅히 바뀔 수 있는 것이다.

2001/03/15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349 10명 중 1명이 파랗다→파라타 2003/04/03 중앙일보
348 방송3사 방송언어 ‘듣기 민망’ 2003/03/23 미디어오늘
347 [e메일 옴부즈만]쉬운 말 우리말 2003/03/23 경향신문
346 <여론마당>카센터 일본식 용어 남발 2003/03/17 문화일보
345 [천자칼럼] 한글오염 2003/03/16 한국경제
344 <오후여담>숫자언어 2003/03/11 문화일보
343 초등교과서도 인용출처 밝혀야 2003/03/05 한겨레신문
342 휴대폰 문자 메시지 때문에 영어 파괴도 심각 2003/03/04 중앙일보
341 인터넷 올바른 언어 사용을 2003/02/26 디지털타임스
340 `국어학회`,`‘일본어학회`로 2003/02/25 한국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