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들른 이 155989599 명
깁고 더함 2007/12/28
|
|
|
|
|
|
|
|
|
|
|
[이진원 기자의 바른말 광] 옥석구분, 옥석 구분
|
깊이 생각하지 않고 글을 쓰다 보면 '실수'할 때가 있다. 그런 일은 글과 말로 먹고사는 사람들에게도 예외 없이 일어난다. 하지만 알면서 저지른 실수인지, 아니면 몰라서 잘못 쓴 것인지 헷갈릴 때가 종종 있다. 그리고 몰라서 그렇게 쓴 것 같아 보일 땐, 일종의 직업병이지만, 글을 읽다가 호흡이 흐트러지기도 한다.
잘못을 줄이는 길은 그저 부지런히 사전 찾아보는 수밖에 없다. 하나 더 있다면 시간 날 때마다 우리말에 대해 생각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 정도. 정공법밖에는 길이 없다.
'그러고 보면 명절은 나이먹은 미혼자들이나, 이혼자들,…혼자 사는 노인들, 하여간 뭔가 하나씩이 부족한 사람들한테는 불편부당한 날임에 틀림없다.'
공선옥의 단편소설 <아무도 기다리지 않았다>에 나오는 구절인데, '불편부당(不偏不黨)'이 부당(不當)하게 자리 잡고 있어 불편(不便)하다. 문맥을 보면 작가는 '불편하다'는 뜻으로 이 말을 썼음 직하다. 하지만 불편부당은 아주 공평하여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다는 말이다. '불편(不偏)'은 치우치지 않는다는 뜻이고 '부당(不黨)'은 무리를 짓지 않는다는 말. 그러니 이 자리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
또 다른 잘못 하나. 선거를 앞두고는 흔히 이런 기사가 보인다.
'이번엔 다른 어느 선거 때보다 유권자들이 옥석구분을 잘 하리라 믿는다.'
이 글을 쓴 기자는 '옥과 돌[石]을 구분한다'는 뜻으로 '옥석구분'이란 말을 썼을 것이다. 하지만 이 말은 그런 뜻이 아니다. 한자로는 '玉石區分'이 아니라 '玉石俱焚'으로 쓰는데 '옥이나 돌이 모두 다[俱] 불에 탄다[焚]'는 뜻이다. 즉, 옳은 사람이나 그른 사람이 구별 없이 모두 재앙을 받는다는 말. 그러니 <학습효과로 옥석구분 능력 생겼다>나 <테마주(株)도 옥석구분이 우선>, <지역신문 옥석구분 아직 멀었다> 같은 기사 제목은 의도와 달리 영 이상한 뜻이 돼 버린 셈이다.
뜻을 제대로 전하려면 '옥석을 구분하다'로 쓰거나 '옥석 구분'처럼 띄어쓰기라도 해야 할 것이다.
자칫 자랑하려다 망신살이 뻗칠 수도 있으니 한자말 쓸 땐 조심하고 또 조심할 일이다.
2007/07/24 부산일보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