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635189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625. '사잇길'은 없다

"보리밭 '사잇길'로 걸어가면/ 뉘 부르는 소리 있어 나를 멈춘다/ 옛 생각이 외로워 휘파람 불면/ 고운 노래 귓가에 들려온다/ 돌아보면 아무도 보이지 않고/ 저녁 놀 빈 하늘만 눈에 차누나."

즐겨 부르는 가곡 '보리밭'(윤용하 작곡, 박화목 작사)의 노랫말이다. 노랫말이나 시에 맞춤법의 잣대를 들이대기는 뭣한 면이 있지만 여기에 나오는'사잇길'은 '샛길'이 바른말이다.

'샛길'은 큰길 사이로 난 작은 길을 말하는데, 한자어로는 '간도(間道)'라고 쓴다. '샛길'은 '사이[間]'의 준말인 '새'와 '길[道]'이 합쳐진 말이다. 발음할 때 [새낄]로 '길'이 된소리가 나므로 '새'에 사이시옷이 붙어 '샛길'이 됐다. 그러나 줄어들기 전 형태인 '사잇길'은 표준어로 인정하지 않고'샛길'의 잘못으로 규정하고 있다. "꾸불거리는 샛길이 황토 야산 사이로 나 있다" "샛길로 질러가면 훨씬 빠르다"처럼 쓰인다.

"샛길로 빠질 때 인생은 즐겁다" "샛길은 호젓하나 구렁텅이로 빠져드는 길이다" 등과 같이 '샛길'은 의미가 확장돼 정도(正道)에서 벗어난 경우를 나타내는 뜻으로도 사용된다.

2005/12/27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788 [우리말 바로쓰기] <까다로와-까다로워> 2006/01/11 스포츠한국
787 [우리말바루기] 636. 배기가스 절감(?) 2006/01/11 중앙일보
786 [우리말바루기] 635. '소근거리다'(?) 2006/01/10 중앙일보
785 [우리말 바로쓰기] <길잡이--길라잡이> 2006/01/10 스포츠한국
784 [우리말바루기] 634. 죽음을 당하다(?) 2006/01/10 중앙일보
783 [우리말바루기] 633. 배워 주다(?) 2006/01/09 중앙일보
782 [우리말 바로쓰기] <기다란--길다란> 2006/01/09 스포츠한국
781 [우리말 바로쓰기] <금새--금세> 2006/01/07 스포츠한국
780 [우리말바루기] 632. 움추린(?) 어깨 2006/01/05 중앙일보
779 [우리말바루기] 628. 아직은 병술년이 아니다 2006/01/01 중앙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