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8766046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안/못’ 빼돌리기

셈말 중 가장 큰 것이 ‘모두’ 또는 ‘다’이다. 가장 작은 셈말은 ‘하나’다. 그래서 “숙제 다 했니?”라는 물음에 “아직 다는 못했어”와 “하나도 못했어”라는 대답이 나온다. 앞엣것은 ‘다’는 아니라도 숙제를 얼마큼 했을 때 나오는 말이다.

가장 작은 셈말인 ‘하나’에 ‘도’가 붙으면 전혀 못했거나 없다는 말이 되는데, 이 형태는 아주 널리 쓰인다. “돈이 한 푼도 없다.” “친구가 하나도 없다.”

영어에서는 ‘모두’라는 말 앞에 ‘안’을 붙여(not all) 부정문을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우리말은 부정하는 ‘안/못’을 셈말 앞에 놓지 못한다. 그래서 ‘안/못’을 셈말 뒤에 놓고, 그 대신 ‘모두’ 또는 ‘다’를 ‘는’과 함께 써서 영어와 같은 내용을 표현한다. “사람이 다는 안 죽었다.” 또는 “모두 죽은 것은 아니다.” 이것은 “죽지 않고 산 사람이 있다”는 뜻이다. ‘하나’와 ‘도’도 같은 방법으로 부정문을 만든다. “하나도 안 죽었다.” 이것은 “죽은 사람이 없다”는 뜻이 된다.

우리말은 ‘안/못’을 제자리에 그대로 놓아두고 영어와 똑같이 문장을 부정하기 위해 ‘는’과 ‘도’를 이용한다. 이 때 이들은 한 문장의 경계 안에서 쓰이면서 ‘안/못’을 셈말의 뒤로 빼돌리는 구실을 한다. 부정문이 아닐 때는 이들이 이런 뜻으로 쓰이지 못한다. “사람이 다는 죽었다”와 “사람이 하나도 죽었다”가 쓰일 수 없음을 생각해 보라. “숙제를 다는 했다”와 “숙제를 하나도 했다”도 마찬가지다.

영어의 ‘안 모두’는 우리말로 ‘다(모두)는 ~ 안’으로, ‘안 하나’는 ‘하나도 ~ 안’으로 바뀐다. ‘안’의 자리가 셈말 뒤로 고정된 탓으로 우리말에는 서양말의 ‘nothing’과 ‘nobody’가 아예 불가능하다.

안인희/번역가

2005/01/24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1059 [말들의 풍경]`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2007/01/23 한국일보
1058 [돋보기 졸보기] 14. `너머`와 `넘어`의 구별 2007/01/19 한국경제
1057 [말뜻말맛] 뽑다와 캐다 / 김수업 2007/01/15 한겨레
1056 [북녘말] 자욱길 / 김태훈 2007/01/14 한겨레
1055 [국어생각] 이상한 인사말 `너무 감사드립니다` 2007/01/09 주간한국
1054 [국어이야기]`이따가`, `있다가` 2007/01/09 강원일보
1053 [말뜻말맛] 차례와 뜨레 / 김수업 2007/01/08 한겨레
1052 표준어를 사용하는 세 가지 기준은… 2006/12/27 조선일보
1051 [우리말 바로쓰기] 명백한 사실이지 않으냐고 말했다 2006/12/27 조선일보
1050 [국어생각] 법령문, 이렇게 달라진다 2006/12/22 주간한국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