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60680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겹치는 말

‘입법예고’란 말이 있다. ‘법안을 만들어 미리 알리니 살펴보시라’며 행정부 등 관청에서 관보 따위를 통해 민간에 두루 알리는 절차를 가리키는 말이다. 행정 절차의 하나를 일컫는 이런 말들이 엉터리 표현을 지어낸다.

관청 언저리 기자·공보관 등 전달자들은 굳어진 듯하지만 꽤나 엉성한 ‘전문용어’ 깨뜨리기를 맞닥뜨린 숙제로 삼아야 할 성싶다.

“법을 마련해 입법예고했다, 법안을 입법예고한다, ‘질서 위반행위 규제법안’을 마련해 입법예고한다고 밝혔다, 도시가스사업법이 입법예고될 것으로 보인다, ….” 행정부나 자치단체들 쪽의 관보·누리집은 말할 것도 없고, 방송·신문기사들에서 흔히 듣보이는 표현들이다. 우선 ‘법·법안, 법 개정안, 법 제정안’과 ‘입법’이 겹쳐서 읽기에 사납다. ‘입법예고’를 꼭 써야 할 말 또는 무슨 전문용어로 여기는 데서 생긴 겹치기 문투들이다.

이는 “법안을 마련해 예고했다, 법안을 공고했다, ‘질서 위반행위 규제법안’을 마련해 예고한다고 밝혔다, 도시가스사업법안이 예고될 것으로 보인다”면 말이 겹치지 않고 순해진다.

이 밖에도 기사에서 흔히 쓰는 겹치기 표현들은 많다.

“감독상을 수상한 데 이어, 여우주연상 수상으로 겹경사를 맞았다, 처음으로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흑인이 됐다, ○○○상을 수상했다 ….” 여기선 ‘~상’과 ‘수상’의 ‘상’이 겹친다. 웬만한 쪽 기사에서는 “감독상을 받은 데 이어, 여우주연상을 받아 겹경사가 났다, 처음으로 남우주연상을 받은 흑인이 됐다, ○○○상을 받았다” 정도로 자연스럽게 쓰는데, 태반은 그렇지 못하다.

관행이나 굳어진 버릇을 깨뜨리는 데서 쉬운 글쓰기가 시작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겠다.

최인호/교열부장

2005/03/03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858 [말뜻말맛] 움과 싹 / 김수업 2006/10/23 한겨레
857 [숨은말탐험] 복잡다난·미묘 / 한용운 2006/10/22 한겨레
856 한글날은 왜 10월 9일? 2006/10/09 강원일보
855 [새말탐험] 주머니차 / 김한샘 2006/09/13 한겨레
854 국어생각]`수도료,전기료` 내자 `전기세,수도세` 말고 2006/09/04 주간한국
853 [숨은말탐험] 꿍치다 / 한용운 2006/08/27 한겨레
852 [말뜻말맛] 우리와 저희 / 김수업 2006/08/21 한겨레
851 (자녀를 똑똑하게)오염된 국어 순화부터 하자 2006/08/16 매일신문
850 [고장말탐험] 운율 / 이태영 2006/08/15 한겨레
849 [홍성호 기자의 말짱 글짱] 도랑에서 강까지 2006/08/14 한국경제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