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620923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642. 새의 꼬리(?)

볼품없는 모습을 "꽁지 빠진 수탉 같다"고 표현하는 것은 인간보다 새가 들으면 더 자존심이 상할 말이다. '새의 꼬리'는 비행 시 방향타 역할을 하지만 구애용으로도 쓰인다. 길고 아름다운 꽁지를 가진 수컷이 짝짓기를 더 쉽게 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동물의 몸뚱이 뒤 끝에 붙어 조금 나와 있는 부분을 '꼬리'라고 한다. 이를 낮잡아 "강아지가 어미 꽁지만 따라다닌다"처럼 '꽁지'라고도 쓴다. 이처럼 '꽁지'는 뼈로 연결돼 있는 동물의 꼬리라는 뜻으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꼬리'는 구분해 써야 한다.

닭.참새 등 깃털로 이뤄진 새의 경우 '꼬리'란 말을 붙일 수 없다. 새의 꽁무니에 붙은 깃은 '꽁지'라고 해야 한다. "칠면조의 수컷은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날개를 펴서 땅에 대고 꽁지를 부채 모양으로 펼친 채 암컷 주위를 맴돈다" "가위 모양으로 갈라진 제비의 꽁지는 급히 방향을 바꿀 때 도움이 된다"처럼 쓰인다.

꼬리를 치다, 꼬리를 흔들다 등 꼬리의 쓰임새는 다양하지만 새에게는 쓸 수 없다. '꽁지'와 꽁지를 낮잡아 이르는 말인 '꼬랑지'만 쓸 수 있다.

2006/01/19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848 [우리말바루기] 657. 밸런타인데이와 초콜릿 2006/02/13 중앙일보
847 [우리말바루기] 656. 발바리 2006/02/12 중앙일보
846 [우리말바루기] 655. 진정코(?) 2006/02/09 중앙일보
845 [우리말바루기] 654. 절절이 / 절절히 2006/02/08 중앙일보
844 [우리말바루기] 652. 괄세하면 섭하지(?) 2006/02/06 중앙일보
843 [우리말 바로쓰기] <나꿔채다--낚아채다> 2006/01/27 스포츠한국
842 [우리말 바로쓰기] <나다--낳다> 2006/01/25 스포츠한국
841 [우리말바루기] 645. 나름껏(?) 2006/01/24 중앙일보
840 [우리말바루기] 644. 박스오피스 2006/01/23 중앙일보
839 [우리말 바로쓰기] <나무다--나무이다> 2006/01/23 스포츠한국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