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629251 명
  깁고 더함 2007/12/28
   
 
 
 
  어휘 풀이
[우리말바루기] 643. 여운을 남기다(?)

감동적인 영화를 보고 난 뒤 인상적인 장면의 잔상이 눈앞에 아른거리거나, 훌륭한 음악을 듣고 난 뒤 귓가에 여음이 맴도는 느낌을 경험한 적이 있을 것이다.

①"얼후(二胡)의 두 줄에서 영혼을 울리는 소리가 나고, 잘 연주한 얼후는 웬만해선 잊히지 않는 여운을 남긴다."

②"김모씨는 '나는 정치적 재능이 없다'며 완곡하게 거절 의사를 밝히면서도 '생각해 본 뒤 연락을 드리겠다'고 여운을 남겼다."

'여운을 남기다'는 겹말인데도 너무나 많이 쓰여 이상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 '여운(餘韻)'은 '일이 끝난 다음에도 가시지 않고 남아 있는 느낌이나 정취' 또는 '말로 직접 표현하지 않은 데서 느껴지는 정취'라고 풀이돼 있다. 따라서 아직 남아 있는 느낌이나 정취를 또 '남긴다'는 것은 어법에 맞지 않는다.

'짧은 여행 긴 여운' '여운 있는 말'처럼 쓰일 경우는 문제가 없다. 그러나 '여운을 남기다'는 ①의 경우 '오랜 여운을 주었다/긴 울림(감동)을 남겼다(주었다)' 등으로, ②의 경우 '뒷맛이 남는 말을 했다/여운 있는 말을 남겼다' 등으로 바꾸면 좋을 듯하다.

2006/01/22 중앙일보



   
 
번호 예제 날짜 출처
848 [우리말바루기] 657. 밸런타인데이와 초콜릿 2006/02/13 중앙일보
847 [우리말바루기] 656. 발바리 2006/02/12 중앙일보
846 [우리말바루기] 655. 진정코(?) 2006/02/09 중앙일보
845 [우리말바루기] 654. 절절이 / 절절히 2006/02/08 중앙일보
844 [우리말바루기] 652. 괄세하면 섭하지(?) 2006/02/06 중앙일보
843 [우리말 바로쓰기] <나꿔채다--낚아채다> 2006/01/27 스포츠한국
842 [우리말 바로쓰기] <나다--낳다> 2006/01/25 스포츠한국
841 [우리말바루기] 645. 나름껏(?) 2006/01/24 중앙일보
840 [우리말바루기] 644. 박스오피스 2006/01/23 중앙일보
839 [우리말 바로쓰기] <나무다--나무이다> 2006/01/23 스포츠한국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