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68667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말뜻말맛] 싸우다와 다투다 / 김수업

국어사전은 ‘싸우다’를 물으면 ‘다투다’라 하고, ‘다투다’를 찾으면 ‘싸우다’라 한다. 이들과 비슷한 ‘겨루다’도 있는데 그것도 ‘다투다’라고 한다. 참으로 국어사전대로 ‘싸우다’와 ‘다투다’가 서로 같고, ‘겨루다’는 ‘다투다’와 같다면 셋은 모두 같은 셈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세 낱말이 저마다 다른 모습으로 생겨나서 오늘까지 쓰이고 있겠는가?

본디 다른 뜻을 지니고 다른 모습으로 태어나 서로 달리 쓰였으나, 걷잡을 수 없는 세상 소용돌이를 살아오느라고 우리가 본디 뜻을 잊어버리고 헷갈리는 것일 뿐이다.

‘겨루다’는 일정한 가늠과 잣대를 세워놓고 힘과 슬기를 다하여 서로 이기려고 맞서는 노릇이다. 맞서는 두 쪽이 혼자씩일 수도 있고 여럿씩일 수도 있지만 가늠과 잣대는 두 쪽을 저울같이 지켜준다. 한 쪽으로 기울지 않도록 바르고 반듯한 처지를 만들어주고 오직 힘과 슬기에 따라서만 이기고 지는 판가름이 나도록 하는 노릇이다. 놀이와 놀음의 바탕은 본디 겨루기에 있고, 그것을 가장 두드러지게 내세우는 것이 이른바 운동경기다. ‘싸우다’와 ‘다투다’는 둘 다 공평하도록 지켜주는 가늠과 잣대란 본디 없고 어떻게든 서로 이기려고만 하면서 맞서는 노릇이다. 그런데 ‘다투다’는 목숨을 걸지도 않고 몸을 다치게 하지도 않아서 거의 삿대질이나 말로써만 맞선다. ‘싸우다’는 다투는 것을 싸잡고 몸을 다치게도 할 뿐 아니라 마침내 목숨마저 떼어놓고 맞서는 이른바 전쟁까지도 싸잡는다.

2006/08/14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878 [말뜻말맛] 부리다와 시키다 / 김수업 2006/12/25 한겨레
877 [말겨레] 말차례 / 권재일 2006/12/21 한겨레
876 [말글찻집] 사투리 2006/12/21 한겨레
875 [말들의 풍경] <42> 합치고 뭉개고 2006/12/19 한국일보
874 [숨은말탐험] 윽박 / 한용운 2006/12/17 한겨레
873 [말글찻집] 통하다·속하다? 2006/12/14 한겨레
872 논제무시ㆍ맞춤법 오류땐 감점 2006/12/10 헤럴드 생생뉴스
871 [말글찻집] 밝히다·분명히하다? /최인호 2006/12/07 한겨레
870 [국어이야기]되게, 대게, 돼게 2006/11/28 강원일보
869 [숨은말탐험] 맞부닥치다 / 한용운 2006/11/26 한겨레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