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64114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홍성호 기자의 말짱 글짱] 도랑에서 강까지

"실 같은 물줄기들이 흐르며 또 물을 불러 모아 작은 도랑물을 만든다. …이렇게 키운 섬진강 물줄기는…수마이산 봉우리에서 생긴 또 한 가닥의 도랑을 만나 비로소 시내를 이루며…."

섬진강 시인으로 유명한 김용택씨의 산문집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라'의 한 대목이다.

우리말 운동가인 남영신 국어문화운동본부 회장은 이 대목을 가리켜 우리말에 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지적한 적이 있다. 도랑물이 몸을 불려 개울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시내를 이룬다고 한 것은 아쉽다는 것이다.('안 써서 사라져가는 아름다운 우리말')

문학적 표현과 언어의 과학적 사용에는 간극이 있게 마련이지만,사실을 묘사하는 데 적확한 말의 사용을 굳이 외면할 이유는 없을 것이다.

'도랑'이란 '폭이 좁은 작은 개울'을 말한다. 가령 논밭에 물을 대는,건너뛸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진 물길을 도랑이라 한다. 또 시골에서 수챗물 흐르는 길도 도랑이다. 지저분하고 더러운 이런 도랑을 특히 '도랑창'이라 부른다.

'도랑 치고 가재 잡다'라고 하면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 우선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보다'란 뜻으로 많이 쓰인다. 우리말에는 이 표현과 비슷한 뜻을 담은 여러 관용구가 있어 다양하게 바꿔 쓸 수 있다. '꿩 먹고 알 먹고''누이 좋고 매부 좋고''임도 보고 뽕도 따고''굿 보고 떡 먹고' 모두 사전에 오른 말이므로 얼마든지 쓸 수 있다.

하지만 '마당 쓸고 돈 줍고'나 '피박에 싹쓸이' 같은 말은 우스갯소리로나 통하지 아직 글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표현이다. 이 밖에 한자어로 '일거양득''일석이조'도 같은 의미다.

또 다른 쓰임새는 일의 순서가 잘못돼 애쓴 보람이 나타나지 않음을 비유적으로 가리킨다. 이는 본래 도랑을 치고 나면 돌 틈이나 밑에 숨어 살던 가재를 잡을 수 없으므로 일의 우선순위가 잘못됐다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이 도랑이 좀더 커져 멱을 감을 정도가 되면 '개울'이다. 개울은 골짜기나 들에 흐르는 작은 물줄기다. 개울 중 좀 작다 싶은 게 '실개울'이다. 실개천이나 소류(小流)는 같은 말이다.

개울이 커지거나 평지로 나오면 '시내'가 된다. 어원적으로 '시'는 '가느다란,썩 작은,엷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실'에서 온 말로서 시내는 아직 배를 띄우기에는 작은 물길이다. 시내가 넓어져 비로소 나룻배 정도가 다닐 수 있을 폭이 되면 '내'이다. '개천' 또는 '하천'이라고도 한다.

'내'가 더욱 커져 넓고 길게 흐르면 '강'이다. 내 중에 가장 아름다운 내는 미리내가 아닐까. 미리내는 '은하수'를 가리키는 우리말 이름이다. 하지만 불행히도 아직 방언으로 처리돼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말 자체는 표준어 못지않은 언어세력을 갖고 있다. '미리'는 용의 경상·제주 방언이다. 그러니 '용이 사는 내'가 미리내이다.

2006/08/14 한국경제



   
 
번호 예제 날짜 출처
888 [북녘말] 깍지다리 / 김태훈 2007/01/21 한겨레
887 [말글찻집] 토·씨끝 갈피/최인호 2007/01/18 한겨레
886 계속되어지고(X)… 계속되고(○) 2007/01/17 조선일보
885 [국어생각] 납치와 피랍 2007/01/16 주간한국
884 [말글찻집] 낮은말? /최인호 2007/01/04 한겨레
883 `꼬라지하고는→꼬락서니하고는`이 바른말 2007/01/03 국정브리핑
882 [말들의 풍경] <44> `한글소설`이라는 허깨비 2007/01/02 한국일보
881 [말뜻말맛] 소젖 / 김수업 2007/01/01 한겨레
880 [말겨레] 인사말 / 권재일 2006/12/28 한겨레
879 자기 부모는 `아버지, 어머니`가 옳은 표현 2006/12/26 국정브리핑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