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56865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말겨레] 말소리의 높낮이 / 권재일

우리는 같은 말소리라도 높은소리로 낼 수도 있고 낮은소리로 발음할 수도 있다. 그런데 세계 언어 가운데는 같은 소리를 높은소리로 내는 말과 낮은소리로 내는 말이 서로 다른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아프리카 가나말에는 높은소리와 낮은소리가 구별되어 쓰인다. [papa]라는 말을 살펴보자. 앞의 [pa]를 높게 내면 ‘훌륭한’이라는 뜻이 된다. 뒤의 [pa]를 높게 내면 ‘아버지’라는 뜻이 된다. 그런데 두 소리 모두 낮게 내면 ‘종려나뭇잎 부채’를 뜻한다. 이처럼 말소리의 높낮이에 따라 서로 다른 낱말이 된다.

이번에는 높은소리, 낮은소리에다 가운뎃소리까지 구별되어 세 단계로 쓰이는 말을 살펴보자. 나이지리아말에서 [kan]을 높은소리로 내면 ‘깨뜨리다’, 가운뎃소리로 내면 ‘맛이 시다’, 낮은소리로 내면 ‘도착하다’라는 뜻이 된다. 이처럼 높낮이가 낱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말이 바로 이웃 중국말이다. 중국말에는 무려 네 가지 높낮이가 구별된다. 따라서 중국말로 대화할 때는 높낮이 발음을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뜻이 통하지 않는다.

우리말은 어떨까? 옛말에는 이런 높낮이 구별이 있었지만, 지금은 일부 고장말을 제외하고는 사라졌다. 15세기에 ‘꽃’은 낮은소리였고, ‘풀’은 높은소리였고, ‘별’은 낮았다가 높아가는 소리였다. 그러나 요즘은 ‘꽃·풀’은 짧은소리로, ‘별’은 긴소리로 바뀌었다.

권재일/서울대 교수·언어학

2006/11/09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898 [말뜻말맛] 파랗다와 푸르다/ 김수업 2006/07/03 한겨레
897 [숨은말탐험] 떡대 / 한용운 2006/07/02 한겨레
896 [이진원 기자의 바른말 광] 어눌하다 2005/12/20 부산일보
895 [국어생각]발음 혼동어1방방곳곳·풍지박산·홀홀단신 2006/06/28 주간한국
894 [새말탐험] 외국어와 새말 2006/06/28 한겨레
893 [이진원 기자의 바른말 광] 스스로를 존경해도 된다 2006/06/27 부산일보
892 [우리말 다듬기]`로드 무비` 순화어 `여정영화`로 2006/06/22 동아일보
891 [새말탐험] 청소년의 새말 / 김한샘 2006/06/21 한겨레
890 [말들의 풍경] <16> 새로운 사회방언? 2006/06/20 한국일보
889 [말들의 풍경] <48> 이름의 생태학 2007/01/30 한국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