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82456867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말글찻집] 통하다·속하다?

통하다·속하다?

손쉽게 외자 한자말에 ‘-하다’를 붙여 말을 만드는 방식이 있다. 요즘은 ‘준말’보다 ‘단축어’란 말을 많이 쓰는데, 자판 단축키를 쓰는 버릇과도 상관이 있는 듯하다. ‘-하다’는 토박이말은 물론, 외자를 포함한 모든 한자말, 서양 외래어에도 품사 바탕이나 이은말을 가리지 않고 붙어 쓰이는 ‘도깨비방망이’와 같은 존재다.

이로써 그 생산성을 인정하는 만큼 외래말투를 양산하는 불가사리로 지목하기도 한다. 델리킷하다·핸섬하다·디테일하다·컨택하다·야리쿠리하다·쿠사리하다·크랭크인하다·컷오프하다 …처럼 몸체의 출처나 족보를 가리지 않는다.

외자 한자말에 ‘-하다’를 붙인 말들은 역사가 오래여서 토박이말처럼 굳어져 쓰이는 말들이 적잖다. 이런 말들은 태생이 튀기인데다 제2, 3의 번역투를 만들기도 한다.

사물을 같은 성질이나 갈래로 묶어 이에 들거나 딸린 것을 일컫는 ‘속하다’, 다른 사물과 관계를 맺거나 중개를 거치거나 할 때 쓰는 ‘통하다’도 꽤 익숙하게 쓰는 말이다. 이들이 20세기 들어 자주 쓰게 된 연유로, 숙명적으로 한자를 부려 쓰는 말, 곧 특히 외자 한자말 쓰기가 잦은 일본말 영향으로 본다.(屬する, 通じる) 영어(through, belong to 따위)를 뒤칠 때도 판박이처럼 ‘-를 통하여, -에 속한다’ 식으로 쓰는 때가 잦다.

‘-을 통해’는 문맥이나 자리 따라 ‘터, 거쳐, ~ 속에서, ~으로, ~으로써 …’ 들로, ‘-에 속하다’도 문맥에 따라 ‘~에 들다, ~에 딸리다, ~의 일원이다, ~의 소유다, ~이다 …’ 들로 자연스럽게 뒤칠 수 있다.

△당시 합의에선 문제가 될 수 있는 뼈의 크기는 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뼛조각도 수입 위생 조건에 명시된 ‘뼈’에 속한다는 것이 한국 정부 입장이다 → ~. 따라서 뼛조각도 수입 위생조건에서 밝힌 ‘뼈’에 든다는 게 한국 정부 견해다.

△버섯은 생물을 분류하는 방식에 따르면 동물, 식물과 전혀 다른 균류에 속한다 → 버섯은 생물분류 방식에서 동·식물과 다른 ‘균류’로 분류한다.

△사고가 난 8번 장애물은 높이 1m10의 계단식 장애물로 전체 장애물 가운데 난이도가 낮은 편에 속한다 → ~ 난이도가 낮은 편이다.

△또 손해배상 청구소송 등에서 손해 인정 범위에 대한 판단은 재판부 재량권에 속하는데 아무래도 전관 변호사 쪽에 후하게 계산해 주지 않겠느냐는 시각도 있다 → ~ 재판부 재량으로 판단하는데 ~.

△집집이 서로 다른 사가례(私家禮)에 속하니 참견하는 게 아닙니다 → 집집이 서로 다른 사가례를 따르니 참견하는 게 아닙니다.

△입법예고와 공청회 등의 과정을 통해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 입법예고와 공청회 등을 거치면서 의견을 충분히 들어.

△당시 훈련을 통해 지구력과 스피드가 놀라울 정도로 향상됐다 → 그 훈련으로 지구력과 스피드가 놀라울 정도로 높아졌다.

△과연 유엔이 과감한 개혁을 통해 평화의 바벨탑을 쌓을 수 있을까 → 과연 유엔이 과감한 개혁으로 평화의 바벨탑을 쌓을 수 있을까.

△1층 뒷문을 통해 피의자를 데리고 들어와 비밀계단을 통해 5층 조사실로 데리고 들어갈 수 있다 → 1층 뒷문으로 피의자를 데리고 들어와 비밀계단을 거쳐 5층 조사실로 ~.

△경찰은 명동 중앙로에서의 진압을 통해 집회 참가자 10여 명을 추가로 연행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 경찰은 명동 중앙로 진압 때 집회 참가자 10여명을 ~.

△그는 다행히 친구 아버지를 통해 취직했다 → 그는 다행히 친구 아버지 덕분에 취직했다.

△흥미진진한 스릴러 작품을 통해 주로 사회의 어두운 면을 날카롭게 파헤쳐온 작가의 신작 → 흥미진진한 스릴러 작품을 써서 ~.

△한국무역협회는 무역센터 트레이드타워 51층 대회의실에서 사례를 통해 배우는 중국 유통시장 진출 설명회를 연다 → ~ 사례 중심의 중국 유통시장 진출 설명회를 연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2006/12/14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908 말들의 풍경 `한글`견줄 데 없는 문자학적 호사 2006/07/25 한국일보
907 [말뜻말맛] 금과 줄 / 김수업 2006/07/24 한겨레
906 [숨은말탐험] 미혼남·미혼녀 / 한용운 2006/07/23 한겨레
905 [이진원 기자의 바른말 광] `물러설래야`에 얽힌 고민 2006/07/18 부산일보
904 [고장말탐험] 소설속 고장말 / 최범영 2006/07/18 한겨레
903 [국어생각] `회자(膾炙)`는 맛있는 음식 2006/07/12 주간한국
902 [홍성호 기자의 말짱글짱] 는개에서 장대비까지 2006/07/10 한국경제
901 [김준성의 올바른 글쓰기] 겹문장 쓸 땐 일관성 유지 2006/07/10 조선일보
900 [국어생각] `세계 2위 갑부`는 없다 2006/07/05 주간한국
899 [국어이야기]- (으)로서, - (으)로써 2006/07/04 강원일보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