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562613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말뜻말맛] 소젖 / 김수업

지난 세기 칠십 년대에 위궤양을 앓던 나는 다방에 가면 늘 ‘우유’를 마셨는데, 우유를 달라면 아가씨는 언제나 ‘밀크’를 권했다. 짐짓 우유와 밀크가 어떻게 다르냐고 물으면 우유는 칠백 원이고 밀크는 천 원이라 했다. 값만 다르냐고 하면 우유는 가루를 타서 만들고 밀크는 병에 든 것을 준다고 했다. 우유나 밀크나 그게 그건데 한자말 우유는 칠백 원이고 영어 밀크는 천 원인 사실이 우스웠다. 그럼 우리말 ‘소젖’이면 값을 얼마나 받겠느냐며 말장난을 치곤했다.

신라가 당나라와 손잡고 백제 고구려를 무너뜨려 국학 출신과 당나라 유학생만 벼슬자리에 앉히면서 우리말은 한자말에 짓밟히기 시작했다. 그런 세월이 일천 삼백 년 동안 바로잡히지 않아 저 드넓은 요서·요동·만주 벌판을 죄 중국에 빼앗겼고, 우리말은 한자말에 짓밟혀 하찮고 더러운 것으로 낙인찍혀 굴러 떨어졌다. 그런 흐름은 아직도 끝나지 않아서 ‘어버이’는 ‘부모’에게, ‘언니’는 ‘형’에게, ‘아우’는 ‘동생’에게 짓밟혀 쫓겨나는 모습을 우리 눈으로 본다.

조선이 무너지고 일본과 미국이 덮치면서 일본말과 영어가 다시 우리말을 짓밟았으나 이제 일본말은 한자말 자리로 떨어지고 영어만 홀로 윗자리에 올라섰다. 소젖→우유→밀크, 집→건물→빌딩, 뜰→정원→가든 …. 이처럼 우리말은 한자말과 영어 밑에 이층으로 깔려 숨을 헐떡인다. 이런 우리말의 신세를 뒤집어 맨 윗자리로 끌어올려야 우리가 올바로 살아가는 문화 겨레가 아닐까?

김수업/우리말교육대학원장

2007/01/01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894 [새말탐험] 외국어와 새말 2006/06/28 한겨레
893 [이진원 기자의 바른말 광] 스스로를 존경해도 된다 2006/06/27 부산일보
892 [우리말 다듬기]`로드 무비` 순화어 `여정영화`로 2006/06/22 동아일보
891 [새말탐험] 청소년의 새말 / 김한샘 2006/06/21 한겨레
890 [말들의 풍경] <16> 새로운 사회방언? 2006/06/20 한국일보
889 [말들의 풍경] <48> 이름의 생태학 2007/01/30 한국일보
888 [북녘말] 깍지다리 / 김태훈 2007/01/21 한겨레
887 [말글찻집] 토·씨끝 갈피/최인호 2007/01/18 한겨레
886 계속되어지고(X)… 계속되고(○) 2007/01/17 조선일보
885 [국어생각] 납치와 피랍 2007/01/16 주간한국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