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른 이 179556043 명
  깁고 더함 2007/12/28
   
 
 
 
  교육, 학술
[말글찻집] 낮은말? /최인호

지난 세밑에 어떤 자리 연설끝에 노 대통령이 했다는 “욕만 바가지로 얻어먹고”란 표현은 곧바로 절실하게 들리는데, 이 말이 상스럽다면 이를 대체할 점잖은 말은 뭘까?

말은 쓰기에 따라 살도 칼도 바람도 되긴 한다. 입말·글말을 가리지 않고 따돌리는 말에 ‘낮은말’이 있다. 그 상대어는 ‘높은말’이 아니라 예삿말·대중말, 바른말·고운말 정도로 일컫는다. 국어사전들은 올림말을 일일이 “낮은말, 비어·속어, 상스러운 말, 낮잡아 하는 말, 홀하게 일컫는 말, 곁말, 은어, 욕말 …”들로 설명하거나 불도장을 찍는다. 임자들로선 참을 수 없는 처사지만, 사람들이 오래 전부터 말에 ‘계급’을 매겨 써 온 까닭이다.

그러나 이는 때와 곳에 따라 흔히 쓰는 말이기도 하고, 실제로 쓰고 싶을 때가 많기도 하다. 이로써 좀더 원초적이고 때가 덜 묻은 말인 줄 알겠다. 아무튼 우리는 무척 이중적인 말글살이를 하도록 규제를 받는 셈이고, 그래서 생기는 마음병이 적지 않을 터다.(김동언 ‘국어 비속어 사전’에는 8600여 낱말·구·속담을 올림)

쓰면 당장 상대가 싫어하고 손가락질하는, 그래서 쓰기를 삼가는 ‘낮은말’의 정체는 뭔가? 낮은말로 여기는, 사람을 뜻하는 몇몇 뒷가지를 들춰보자.

“현대 국어에서 활용하는 존칭 접미사는 거의 ‘님’에 국한되는 듯하다. 물론 상감·대감·영감의 ‘감’이 있지만 이것들은 호칭 대상의 사회적 인식변화로 점점 사어화하여 소극적으로 쓰이고 있을 뿐이다. 다만 씨족·성씨의 ‘씨’가 성이나 이름에 접미하여 존대 뜻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나 …. 후기 중세국어의 시기에는 ‘놈’이 평칭 접미사였고, 고대국어 시기에는 여러 종류의 존칭 접미사가 활용되었다. 예를 들면 ‘한/간/감/금, 지>치, 보/부, 도리, 쇠’ 등이 보편적으로 쓰였다. 어원적으로 볼 때 위의 존칭 접미사들은 그 뿌리가 아주 깊숙한 역사 속에 박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도수희)

도수희 님은 우리 옛말에서 존칭 접미사 ‘지’와 ‘한’은 사람의 뜻인 명사에 존칭 의미가 더해 뒷가지가 된 것으로 봤다.(신지·알지·막리지·건길지/거서한·서발한·아도한) 그리고 ‘님’ 도 중세국어 시기까지는 ‘님금’(임금)과 더불어 극존칭 명사로 쓰였다가 근세 이후부터 일반 존칭 접미사로 떨어졌다고 봤다. ‘보/부’(대보·우보/명림답부·거칠부), 도리(소벌도리, 舍輪·金輪/쇠도리), 쇠(釗·斯由/쇠, 개소문/개금·개쇠)도 비칭 접미사로 떨어졌는데, 왜 이처럼 이런 말들이 마냥 비칭화만 했는가고 묻는다.

예서 우리는 두엇 상식적 연유들을 짚을 수 있겠다. 가깝게는 신라 통일 이후 제도·문물의 당나라화, 뒤이은 고려와 조선의 중국화 심화가 지칭 분야에서 특히 고유어의 품위를 끌어내리는 구실을 했을 터이란 점이다. 나라와 정권이 바뀌면서 제도·벼슬이름이 바뀌는데, 이전 것을 부정하고 짓밟으니 우스개가 되거나 천덕꾸러기가 되기 마련이었고, 기록 또한 멸실돼 챙기거나 발전시킬 여가가 없었을 것임은 짐작하고도 남는다. 금·원·청으로 이어지는 방계족속(오랑캐)과의 불화도 말겨레(어족)가 비슷한 쪽의 말을 배척하는 요인이 됐을 터.

이처럼 오래 된 말일수록 낮은말로 떨어뜨리는 역사가 있었고, 그 내림은 오늘도 바래지 않는다. 숱한 말들이 ‘낮은말’ 굴레를 벗고자 우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2007/01/04 한겨레



   
 
번호 예제 날짜 출처
894 [새말탐험] 외국어와 새말 2006/06/28 한겨레
893 [이진원 기자의 바른말 광] 스스로를 존경해도 된다 2006/06/27 부산일보
892 [우리말 다듬기]`로드 무비` 순화어 `여정영화`로 2006/06/22 동아일보
891 [새말탐험] 청소년의 새말 / 김한샘 2006/06/21 한겨레
890 [말들의 풍경] <16> 새로운 사회방언? 2006/06/20 한국일보
889 [말들의 풍경] <48> 이름의 생태학 2007/01/30 한국일보
888 [북녘말] 깍지다리 / 김태훈 2007/01/21 한겨레
887 [말글찻집] 토·씨끝 갈피/최인호 2007/01/18 한겨레
886 계속되어지고(X)… 계속되고(○) 2007/01/17 조선일보
885 [국어생각] 납치와 피랍 2007/01/16 주간한국

   
   
 

 


이 누리집은 한국어 맞춤법/문법 검사기를 판매한 자금으로 부산대학교 정보컴퓨터공학부
인공지능연구실에서 깁고 더하고 있습니다.
우리말배움터(051-516-9268)에 고칠 곳이 있거나 건의할 것이 있으신 분은 연락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