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들른 이 182455245 명
깁고 더함 2007/12/28
|
|
 |
|
|
|
 |
|
|
|
|
[숨은말탐험] 떡대 / 한용운
|
큰 몸집’(덩치·체구)의 뜻으로 국어사전에 수록된 낱말은 ‘체대’(體大)이다. 그런데 ‘체대’란 말은 신문·잡지·소설 등의 글말에서 찾아보기 어렵고, 일상생활이나 방송 등의 입말에서도 거의 들을 수 없는 말이다. 이런 의미를 뜻하는 말로 ‘떡대’가 있다.
“별다른 기술 없이 큰 떡대만 믿고 씨름판에 나선 자들은 하대치의 번개 같은 허리치기에 걸려 ….”(조정래 〈태백산맥〉) ““똑바로 서 봐, 이 떡대야.” 상사는 몽둥이로 황의 배를 쑤셨다.”(박영한 〈머나먼 쏭바강〉) “검정 제복 차림의 떡대 같은 교도관 한 떼거리가 급한 걸음걸이로 들어오고 있었다.”(이호철 〈문〉)
‘떡대’에서 ‘떡’의 뜻은, 음식명으로 쓰이는 ‘떡’과는 차이가 있고, ‘떡잎’, ‘떡조개’에서처럼 앞가지로 쓰이는 ‘작은’, ‘어린’과도 거리가 있다. 다만, ‘떡심’, ‘떡두꺼비’, ‘떡판’과 같은 복합어에서 ‘억세고 질긴’ 또는 ‘굳세고 든든한 것이나 크고 넓적한 것’의 의미가 드러나는데, ‘떡대’의 ‘떡’도 이런 의미로 쓰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대’는 ‘뼈대’, ‘멀대’, ‘돛대’에서처럼 ‘막대나 막대 모양’의 뜻을 나타낸다. 이러한 뜻의 ‘떡’과 ‘대’로 이루어진 ‘떡대’는 ‘큰 몸집’ 또는 ‘큰 몸집의 남자’라는 뜻을 나타내게 되었다.
‘떡대’처럼 우리말의 조어법에 어긋나지 않으면서 입말과 글말에서 널리 쓰이는 낱말은 마땅히 국어사전에 올려야 할 것이다.
한용운/겨레말큰사전 편찬부실장
2006/07/02 한겨레
|
|
|
|
|
|
|
|
|
|
|
|
|
|
|